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이 폭등하는데, 이 상승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과 미국 시장의 상승 원인은 다릅니다. 한국은 경기 침체 시점에서 정부 교체로 인한 추경 집행의 기대감으로 인해 오르는 겁니다. 즉, 최악의 경제 상황에서 정부가 수십조원의 돈을 집행할건데 거기에 대한 기대감이라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집행 후에는 조정이 올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걸 셀온이라고도 합니다. 미국 시장은 경기가 호황에서 침체로 가기위한 과정인데, 정말 SLOW 하게 침체로 가는 중으로 보시면 됩니다. 궁극적으로 침체가 안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재 고용이나 물가 지표 모두 상당히 안정적이기 떄문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6.09
0
0
지역화폐 25만원은 언제쯤 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지역화폐는 좋은 정책인것 같지만, 전국민 25만원 지급은 분명히 안좋은 정책이라 보여집니다. 세상에는 공짜는 없습니다. 25만원을 전국민에게 줄려면 8~10조 가량의 정부 부채가 발생합니다. 이는 곧 국민들의 세금으로 다시 돌아가게 됩니다. 그리고, 현금이 살포되면 시장에서의 유동성 확대로 인해 분명히 물가가 상승합니다. 국민들은 25만원을 받아서 쓰면 단기간은 좋겠지만, 결국 물가 상승으로 인해 부메랑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6.08
0
0
재테크포트폴리오에 금을 좀 넣어둘까 고민인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투자 자산에 금을 포함하는건 좋은 생각인듯 보여집니다. 현물로 가지는것이 가장 좋지만, 보관 방법 등 불편함이 있어 그냥 금 ETF 투자하는것이 가장 편한듯 보여집니다. 다만, 금 시세는 지금 거의 고점인 상태이므로 어느정도 조정 구간에 있을떄 투자하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6.07
0
0
아파트 매매 후 남은 돈, 예금으로 굴리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가장 안전적인 재태크는 원금 보장이 가능한 예적금입니다. 하지만 최근 기준금리 하락으로 3% 이상대의 금리를 찾기 어렵습니다. 물가 상승율을 고려했을떄 거의 수익이 안나는 상황이라 보시면 됩니다. 다만, 현금으로 들고 있는것 보다는 낫습니다. 현금으로 들고 있으면 물가 상승으로 화폐가치 하락으로 인해 손실을 보는것과 같습니다. 좀 더 공격적으로 할려면 ELS 상품이나, 금과 같은 상품도 괜찮습니다. 가장 위험한 방법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 비트코인이나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큰 수익을 볼수도 있지만, 반대로 원금 손실도 가능합니다. 비중으로 나눠서 안전자산인 예적금과 공격적인 주식이나 코인 등으로 배분해서 투자 하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6.07
0
0
새로운 대통령으로 인해서 금리가 내려갈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한국의 금리는 이미 2.5%로 낮은 수준입니다. 여기서 추가로 내려갈 가능성도 높습니다. 비록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2% 정도 나지만, 한국의 경제 상황으로 봐서는 추가 금리 인하는 가능할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2.5%에서 1%대 진입은 미국의 금리 인하 시작하기 전까지는 어려울것으로 보여집니다. 한미 금리차이가 커지면 인플레이션이나 환율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6.04
0
0
SK하이닉스 왜 반도체 수요 하락기에도 AI용 HBM에 집중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AI 가속기에 들어가는 HBM이 고수익 반도체라서 입니다. 그리고 일반 디램은 미리 주문을 받아서 하는것이 아니라 수요를 예상해서 만드는 거라 항상 사이클을 탑니다. 반면 HBM은 미리 수주를 받은 다음 만들기 떄문에, 사이클을 타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6.03
0
0
경제성장률이 0.8%면 많이 낮은 수치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0.8%면 국가 경제 성장률이 제로 영역입니다. 거의 성장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경제 성장율은 건설경기, 설비투자, 순수출입 등의 수치 합으로 결정되는데요, 전반적으로 수치가 안좋다고 예상됩니다. 제로 영역이면 국가 성장은 정체로, 향후 국가 예산과 기업 투자 등의 감소로 이어져 암울하다고 보여집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30
0
0
인도 연내 세계 4위 경제대국 된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인도는 세계 가장 젊은 나라입니다. 인구도 10억 이상으로 엄청난 인적 자원을 보유 하고 있습니다. 즉, 향후 잠재력이 상당히 높은 나라입니다. 인도가 세계 4위 뿐만아니라 중국을 넘어서 세계 2위가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보여집니다. 중국은 인구 성장이 멈췄으며 한국과 비슷하게 엄청난 속도로 고령화로 진입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향후 10년이후 G2는 미국과 인도가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30
0
0
국민연금이 올해 들어 10조원 이상의 운용 수익을 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국민연금이 투자금으로 수익을 내면 국민 입장으로는 좋은 겁니다. 속상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차피 은퇴 후, 연금으로 받는거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자랑할려고 운영 수익을 냈다고 기사화 하는게 아니라, 기업들이 실적발표 하듯이 규정으로 분기별 투자 성과를 발표해야 합니다. 수익을 냈다고 기사화 한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30
0
0
신용카드는 계속 발급받아도 신용등급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신용카드 발급은 신용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신용카드로 카드론을 받거나, 카드대금 연체는 신용점수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5.05.28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