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식에서 일반주와 우선주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다릅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는 2가지 입니다 첫번째는 의결권입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습니다. 반면 우선주는 배당금이 많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9
0
0
시중 금리와 투자심리와의 관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당연히 투자 심리에는 악재입니다. 현재 거래대금만 봐도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합쳐서 5조 밖에 안됩니다. 예전 주식 활황기때는 20조 이상이 되었습니다. 그정도로 거래대금이 축소되고 예금으로 자산이 이동되고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9
0
0
주식에 상, 하한가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단순히 변동성이 크므로 그걸 방지하고자 하는 제도 입니다. 상하한가가 30%면 그 이상의 이익, 손해는 방지하므로 제한을 두는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9
0
0
머지포인트 사기가 일어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머지포인트는 포인트를 현금으로 사면 제휴 맺는곳에서 할인을 받을수 있었습니다. 예를들어 10만원 포인트를 사면 할인받아서 8만원 정도면 가능했습니다. 추가로 편의점이나 카페 등에 추가로 10% 이상 할인을 받으니 엄청나게 할인을 받는거죠. 사기인 이유는 돌려막기의 최후라 보시면 됩니다. A고객의 돈으로 B고객한테 포인트를 넘기는 구조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9
0
0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에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니요 개인 선택입니다. 대출을 받을때 변동(3개월 or 6개월 등) 으로 할지 계속 고정으로 할지 본인이 선택하는 겁니다. 고정으로 하면 그만큼 변동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변동으로 하면 처음에는 고정보다 금리가 낮지만, 이후 주기적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금리 상승기에는 엄청나게 오를수가 있습니다 .
경제 /
예금·적금
22.12.19
0
0
증권회사에서 수수료 무료 혜택 문의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뇨 세금은 내야 됩니다. 단순히 증권사에 내는 수수료가 무료 입니다. 세금은 국가에서 담당하는거라 내야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9
0
0
'정책금리'라는 단어는 기준금리랑 같은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같은 말입니다.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결정하는것이 기준금리 즉 정책금리입니다. 이에 시장금리는 정책금리에 가산금리가 더해져서 만들어지는 거구요.
경제 /
예금·적금
22.12.18
0
0
전기자동차의 시대가 오면 기존 메이커들은 위험해지겠죠?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미 전기자동차 시대는 왔습니다. 전세계 침투율 20% 정도 육박할 정도로 엄청난 성장성으로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단, 한국은 침투율 5% 미만 수준으로 상당히 지지부진해서 못느낄수 있습니다. 유럽과 중국은 이미 20% 훌쩍넘는 침투율로 도로에 전기차가 깔려 있습니다. 중국이 선두업체가 될거라는건 쉽지 않습니다. 그건 2차전지는 중국산 LFP가 아닌 한국산 NCM이 대세이기 떄문입니다. NCM이 주행거리 600km 이상 갈수 있기 떄문에 주행거리가 짧은 중국산은 대세가 되기 힘듭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8
0
0
전기자동차의 시대가 오면 가장 수혜를 많이 받는 기업은?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2차전지가 젤 수혜받겠네요 .배터리 만드는 회사들이 최고 수혜 입니다. 원재료도 그렇고
경제 /
대출
22.12.18
0
0
국내외 주식시장 작금의 어려운 상황들이 완화된다면 다시 회복할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작년처럼 주식시장 불장을 기대하신다면 힘듭니다. 작년같은 장은 비정상적인 장으로 유동성 폭발로 인해 만들어졌습니다. 아마 향후 10년간은 보기 힘들것 같습니다. 10년안에 코로나 같은 팬데믹 현상이 온다면 가능하겠네요. 아마 시장의 어느정도 회복은 내년 하반기로 예상합니다. 내년은 경기침체 본격진입으로 상반기는 회복이 불가능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8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