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증권사 같은 경우에도 회사의 대주주가 될수가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증권사들도 여러 회사에 직접 투자를 하고 이익과 손해를 볼수 있습니다. IPO 담당하는 부서도 있고, 각종 전세계 회사에 투자를 해서 수익을 내는 부서도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29
5.0
1명 평가
0
0
나스닥 거래소 주식 주가가 떨어지고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나스닥 지수의 하락은 그동안 상승을 주도한 AI 섹터의 버블 이슈가 발생해서 입니다. 그리고 파월 연준 의장이 추가 금리 인하를 안할 늬앙스의 발언으로 추가 하락을 유발하였습니다. 그동안 크게 상승한 부분에 있는 상태에서의 차익실현 구실을 마련한 요인으로 판단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26
0
0
한국주식에 투자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 주식의 최고 장점은 세금이 없습니다. 미국 시장은 250만원 수익 이상은 22%의 세금을 내야 하지만, 한국 주식시장은 얼마 벌든지 세금이 없기 때문에 매력적입니다. 그리고 친숙한 회사 들이 많기 떄문에 투자 정보 얻기가 쉽습니다. 다만, 장기 투자하기에는 좋은 시장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는 잘만 이용하면 좋은 수익을 볼수 있는 시장으로 생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24
0
0
나스닥 etf,코스피 etf 중 어떤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둘다 좋을것 같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꾸준하게 가져갈려면 나스닥ETF가 낫습니다. 국내장은 아무래도 신흥국 주식시장이고, 주식 시장 자금 자체가 약합니다. 그래서 전세계 돈이 몰려있는 나스닥 ETF가 장기 투자엔 맞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24
0
0
민생소비쿠폰의 효과는 어떤편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효과는 분명히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현금 유동성 증가로 인해 소비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건 큰 효과입니다. 다만, 이게 장기적으로 갈수 있느냐가 문제인데, 장기적으로 갈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소비 증가의 가장 큰 요소는 임금의 상승입니다. 임금이 올라먀 되는데, 현재 한국 경제상 임금 상승이 될수 없는 상황이므로 장기적으로 소비력 증대는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22
0
0
국제정세 중에서 주식시장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에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은 금리에 가장 민감합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주식은 하락하게 되고, 금리를 인하하면 현금 유동성 증가로 인해 주식이 상승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미국의 기준금리 상황이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미국의 전세계 경제의 40% 이상 차지 하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 변동이 전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줍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9.22
0
0
주식과 ETF의 정확한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과 ETF는 큰 의미로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어 자유롭게 투자한다는 점에서 같습니다. 좀 더 좁게 들어가면 주식은 회사를 사는거고, ETF는 어떤 특정 성격의 주식이 최소 10개 이상 모여 있는 상장 주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반도체 ETF면 반도체 10개 이상 되는 종목이 일정 비중을 가지고 모여 있습니다. ETF의 장점은 큰 변동성이 없이 안정적으로 가져 갈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22
0
0
요즘 미국주식이 떨어질거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그건 아무도 모릅니다. 현재 미국 시장의 밸유도 이미 고점인 상태이므로 언제든지 급락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시장이긴 합니다. 워낙 변수가 많기 떄문에 이를 맞추는건 불가능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19
0
0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여 한국은행도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하던데 현재 우리나라는 금리인하를 하면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지만, 만약 인하를 하게 된다면 가계부채 급증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가계부채 수준은 GDP의 2배 이상으로 전세계에서 TOP 수준입니다. 그래서 금리 인하는 국가 경제 위험 수준으로 갈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과의 금리 차이도 1.75%로 많이나는 상태이므로 원화 가치 하락이 더 커질수 있어 이 부분도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9.19
0
0
이대통령이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아주 잘 대처한것 같은데 여러분 생각은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아직 협상안에 최종 결재도 안된 상태이기 떄문에 머라 하기가 어렵습니다. 현재 상황으로는 거의 실패한 결과라고 봐야할듯합니다. 아직 자동차 관세가 25%을 내고 있고, 다른 상품들도 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지속될 경우 한국 기업들은 큰 피해를 볼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9.18
1.0
1명 평가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