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APPLEB
APPLEB

이대통령이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아주 잘 대처한것 같은데 여러분 생각은

지금 생각해도 한국과 미국의 정상회담이 아주 끔찍한 결과를 가져 올수 있었던것

같아요 그리고 이대통령의 처신도 매우 잘한것 같은데요 대미 투자 관련해서

여러분들의 어떻게 느꼈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대통령의 미국 외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대미 투자 관련해서

    그 자리에서 사인하지 않은 것이

    매우 잘한 처사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정상회담은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으로, 외신들에서도 "칭찬 세례로 승점을 얻었다"거나, "모범 사례가 됐다"고 호평이 이어졌습니다. 미국 측의 강한 압박 속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은 슬기롭게 대처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협상안에 최종 결재도 안된 상태이기 떄문에 머라 하기가 어렵습니다. 현재 상황으로는 거의 실패한 결과라고 봐야할듯합니다. 아직 자동차 관세가 25%을 내고 있고, 다른 상품들도 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지속될 경우 한국 기업들은 큰 피해를 볼것으로 예상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솔직히 트럼프랑 맞붙어서 말싸움이라도 나면 어쩌나 걱정도 했는데 의외로 부드럽게 넘어가고 분위기도 굉장히 화기애애해서 좋았습니다. 미국 쪽 압박이 세게 들어올 수 있는 자리였는데 투자 카드 꺼내면서 균형 맞춘 건 나쁘지 않았다고 봅니다. 다만 대미 투자 금액이 어마어마해서 일자리나 기술 이득이 국내로 돌아오는 구조라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으면 좀 씁쓸하죠. 사람들마다 받아들이는 게 다르겠지만 제 기준에서는 위기 관리 차원에서는 잘하셨지 않았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정상회담은 단순히 정치, 안보적 협력을 넘어 경제 분야에서 매우 실질적인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양국 정상은 한미 동맥을 '제조업 르네상스'의 핵심 파트너로 현대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고, 이는 미국이 자국의 제조업을 부흥시키는 과정에서 한국을 중요한 파트너로 인정했다는 의미입니다.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는 이미 수년간 꾸준히 증가해왔습니다. 특히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은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고, 이는 단순히 돈을 쓰는 투자를 넘어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