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국내주식으로 얼마나 벌어야 세금을 얼마나 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주식 양도소득세는 1. 한 종목의 주식을 10억 원 이상 가지고 있거나 2. 지분율이 일정 퍼센트(코스피는 1%, 코스닥은 2%) 이상인 대주주가 순금융투자소득이 2천만 원을 넘으면 20%, 3억 원을 넘으면 25%의 세금을 내야합니다.대부분, 소액주주들은 대주주에 해당하지 않을 확률이 높아 양도소득세는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250만원 초괴분에 대하여 22%의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15
0
0
미국의 금리인상과 인하는 0.25%의 단계로 고정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반드시 기준 금리의 증감폭의 단위가 0.25%포인트로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다만, 중앙은행은 금융위기와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통화정책의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 대부분 점진적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에 0.25%포인트로 조절하는 것이 통례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9.14
0
0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날짜에 부득이하게 이체를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자동이체날짜에 자동이체가 안 되었다고 해서 바로 미납되지 않습니다.해당 월의 말일까지 이체하면 되므로, 9월 30일까지 이체하시면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9.14
0
0
지급준비율은 왜 경제에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급 준비율'이란 각 금융회사가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에서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자금의 비율을 의미합니다.이 지급준비율은 고객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할 때도 사용하는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경제 /
대출
23.09.14
0
0
수요 공급 법칙 관련해서 질문 드려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요 증가와 공급 감소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면 균형가격이 상승하게 되나, 균형거래량 변화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상대적인 이동폭에 따라 달라지므로 알 수 없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14
0
0
미국의 8월 소매판매가 전월보다 높은 0.6%가 나왔는데 미국의 소비가 이렇게 탄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소매판매가 전원보다 높게 기록한 이유는 휘발유 가격이 최근 8월 들어 크게 오르면서 소매 판매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미국의 소비는 고유가 기조로 인해 당분간은 전월 대비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대출
23.09.14
0
0
새마을금고는 지점별로 예금지보호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새마을금고는 각각의 독립된 개별 법인이라서 새마을금고별 1인당 원리금 합산 5천만원까지 보호됩니다. 다만, 본점 금고의 관리하에 있는 지점의 경우에는 동일 금융기관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본점과 지점의 예금은 합산하여 계산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9.14
0
0
개별주식 매매 창 지정가의 의미?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정가 주문'이란 거래하는 사람이 자기가 원하는 주식의 가격을 주문시 써넣는 것울 의미합니다.즉, 매도자가 원하는 주식의 가격으로 매도하더라도, 그 가격에 매수하는 사람이 있어야 매도가 되는 것입니다.정해진 가격에 도달되면 자동으로 매도가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14
0
0
최근 엔저가 계속 되는 원인이 무엇인가여?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엔화 가치가 낮게 유지되는 이유는 일본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가 아직도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미국 등을 포함한 여러 나라 중앙은행에서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렸으나, 아직까지 일본은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다 보니 엔저 현상이 지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9.14
0
0
미국cpi가 주식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PI는 Consumer Price Index의 약자로 '소비자 물가 지수'를 의미합니다.소비자 물가 지수가 높다는 것은 고물가가 지속된다는 의미이며, 고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됩니다.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아무래도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여 주가 등이 내려갈 우려가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14
0
0
1333
1334
1335
1336
1337
1338
1339
1340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