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우리나라 최초의 주식거래는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주식이 시작된 곳은 1896년입니다.다만, 본격적으로 증권시장이 시작된 것은 1956년으로 조흥은행, 저축은행, 상업은행, 흥업은행 은행 4곳과 대한해운공사, 대한조선공사, 경성전기, 남선전기, 조선운수, 경성방직 6개 일반기업, 대한증권거래소, 한국연합증권금융까지 합해서 12개 종목이 이 당시에 처음 상장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14
0
0
경제학 용어 중에 출자종액제한제도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출자종액제한제도'란 자산 총액이 5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에 속하는 계열사들은 순자산의 25%를 초과해서 다른 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수 없는 제도를 의미합니다.1987년에 대기업들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막고자 처음 도입되었으나, 1997년 IMF 위기로 인해 외국자본에 의한 적대적 M&A를 막기 위해 1998년에 폐지되었으나 오히려 부작용이 더 많아서 1999년에 부활하였고, 2001년 4월에 다시 시행 이후 2009년에 다시 폐지되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09.14
0
0
대외의존도는 경제에서 무엇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외의존도'란 국민경제에서 해외부문과의 거래가 차지하는 크기를 의미한느 단어입니다.대외의존도=(수출액 및 수입액의 합)/국내총샌산(GDP)대외의존도가 높으면 국내에서 소비되는 물건들 중에서 해외로부터 들어오는 양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우리나라의 대외의존도는 2015년 기준 70%에 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9.14
0
0
초근원 인플레이션은 무슨 끗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초근원 인플레이션'이란 제품과 서비스 물가 바스켓에서 식품과 에너지 물가, 그리고 주택비용을 제외한 물가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즉, 근원 물가에서 주택비용까지 뺀 것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9.14
0
0
경제 용어 중 달러 인덱스는 어떤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달러 인덱스'란 세계 각국의 6개의 통화와 비교해 달러의 가치가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여기서 말하는 6개국의 통화란, 캐나다의 달러, 스웨덴의 크로나, 스위스의 프랑, 유럽의 유로, 일본의 엔, 영국의 파운드를 포함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14
0
0
환율과 기업체의 주식가격의 상관관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이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그러면,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서 가격경쟁력을 갖추게 되기 때문에 수출 기업 입장에서는 오히려 매출 증가가 됩니다.다만, 주가에는 이렁 상황뿐만 아니라 여러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환율과 기업체의 주가 관계를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14
0
0
특례보금자리 대출의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차이점은 금리 차이입니다.주택담보대출의 경우이는 4대 시중은행 평균 금리는 5.13~6.6%인 반면에, 특례보금자리 대출은 우대형 기준으로 4.15%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또한, 대출기간 만기 최장 50년까지 고정금리로 가능하며,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고, DSR 계산하지 않는 것이 장점입니다.
경제 /
대출
23.09.13
0
0
국제 유가의 상승이 물가의 상승에 반영되는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름이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기름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각종 화학제품, 의약품, 플라스틱, 옷 등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따라서, 이런 상품들의 원료가 되는 기름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9.13
0
0
신용기관따라 신용 점수가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용평가기관에 따라 신용점수가 다른 이유는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항목의 비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신용평가 항목에는 상환이력, 부채수준, 거래기간, 신용형태 등인데, 신용평가사가 신용점수를 계산할 때 반영하는 항목의 비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신용 점수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3.09.13
0
0
신용카드는 분실했을 때 왜 무료 발급을 해 주죠?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용카드를 분실했을 때, 무료로 발급해주는 이류는 고객 유치 차원입니다.처음 발급할 때 비용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해당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신용카드를 이용한다고 하면 사용금액에 대한 수수료가 계속헤서 발생하기 때문에 카드사 입장에서는 무료 발급을 지원해주는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9.13
0
0
1333
1334
1335
1336
1337
1338
1339
1340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