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잉크 내역
전체
경제
경제
전문가 고배당주 연구소 인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서 고배당주 연구소를 운영하는 카레라입니다.“매달 돈 들어오는 투자” 에 목마른 사람이 많다는 것을 요즘 실감하고 있습니다. 저는 미국주식 투자자인 동시에 고배당주 투자자이기도 합니다. 다만 주식판에서 배당 좀 챙겨봤다는 사람들과 달리 제가 집중하는 영역이 있습니다. 회사채, 우선주를 포함한 특정 금융 상품입니다. 제가 이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하면 왜 그 흔한 커버드콜 ETF나, 미국 대형주, 리츠보다 그걸 더 메인으로 다루냐? 라는 질문을 많이 듣습니다.일단 배당이라는 걸 대충 돈 나오는 상품이라고 뭉뚱그리면 세상이 심플해 보입니다. 근데 현실은 그게 아니에요. 고배당이라고 광고하는 상품, 우리 미국주식 투자자들에게 유명한 상품들을 죄다 모아놓고 보면 대충 연 수익률이 2%에서 15%까지 널을 뛰는데 그 안에 속임수, 착시, 함정이 다 섞여있습니다.(1) 예금한국 예금 금리 2%짜리는 그냥 물가도 못 따라가는 잉여 자금용입니다. 이건 더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2) 미국주식 배당주미국 3~4% 배당주는, PG나 JNJ 같은 걸 말합니다. 음... 이건 솔직히 말해서 예금에 달러 환율 리스크와 주가 리스크를 얹은 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주가 오르면 덤이고, 빠지면 배당 받은 게 그냥 허공에 증발합니다. 이런 상품으로 “나는 배당 투자자다” 라고 외치는 건 자유지만 세상이 그리 녹록치는 않습니다.(3) 전통적인 미국주식 고배당주그럼 배당 좀 높다는 5~6%짜리는? 은행에서 가끔 이벤트로 파는 특판 예금, 아니면 신용등급 약간 아슬아슬한 기업들인데 얘네도 큰 돈을 굴리긴 애매합니다. 6~7% 라인에 들어가면 이제 슬슬 리스크 냄새가 납니다. 알트리아, AT&T 같은 전통 고배당주도 여기 들어가는데 얘네 배당률이 높은 이유는 사실 그냥 주가가 장기 박살나서 배당률만 착시로 높게 찍히는 케이스가 대부분입니다.대표적으로 포드(F) 차트를 한 번 보시면 바로 감이 오실 겁니다. 국내 회사채, 채권의 경우 이 정도 금리를 준다면 부동산이 대부분인데 부동산 PF 부도 때문에 100% 안전하지는 않고요. 결국 이 구간은 원금 위험을 안고 들어가는 자산입니다. 그렇다면? 더 큰 물에서 더 정교한 상품을 가지고 놀아야 합니다.(4) 7~11%짜리 특정 금융상품 고배당주진짜 승부는 여기서부터입니다. 우리가 미국 증시에서 살 수 있는 종목들 중에는 일반주가 아닌, 특정 금융상품들이 있습니다. 연간 배당 수익률은 7~11% 구간이고 고배당주 연구소가 딱 이 지점에 꽂혀 있는 이유가 있습니다.
25.06.15
12
1
1,098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