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생활과 윤리 과목 불교 도가 사상 관련 질문입니다
도교와 불교는 모두 근본적인 도(道)를 깨닫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불교와 달리 도교는 도를 표면적으로 정치 철학화시켰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지닙니다. 또한 불교에서 도가 번뇌를 벗어나는 길을 제시, 자기 해탈에 중점을 두는 데 비해, 도가 사상에서의 도는 만물과 하나 되는 길을 제시해 ‘우주 해방’을 강조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4.04.29
0
0
필리버스터는 어디에서 유래했나요?
안녕하세요. '필리버스터'라는 말은 1851년에 처음으로 쓰였습니다. 이 낱말은 스페인어 '필리부스테로'(filibustero)에서 나온 말로, '해적' 또는 '도적', '해적선', '약탈자'를 뜻하는 말입니다. 당시 '필리버스터'란 표현은 미국에서 보통 미국 중앙 정부를 전복하고자 하던 남부 주의 모험가들을 이르는 말이었으나, 토론을 전횡하는 방식이 이와 같다고 여겨져 의사 진행 방해자를 이르는 말이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7
0
0
고조선 시대의 단군왕검은 실존했던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단군왕검의 실존여부는 학계에서도 여전히 논란 중인 문제입니다. 단군신화의 의미를 해석해보면,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설정한 것은 천명(天命) 사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늘의 뜻을 받들어 인간을 다스리는 동양사상의 반영일 것입니다. 또한 환웅은 이주민이고, 곰과 호랑이는 원주민으로 볼 수 있습니다.곧 곰을 토템으로 한 종족과 범을 토템으로 한 종족이 있었는데, 결국 곰을 토템으로 한 종족과 타협하여 동맹관계를 성립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보편적 인류사 발전 단계로 보아 단군은 한 정치집단의 수장 또는 군장으로 해석됩니다. 여기서 곰족은 직접적 국가 구성원이고, 범족은 타협적 피지배 세력으로 각각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군은 대동강을 배경으로 한 부족장 또는 군장으로 군림한 지배자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7
0
0
아틀란티스가 실제로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아틀란티스를 대서양에 존재하는 거대한 대륙으로 생각한다면, 실존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틀란티스는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의 저서 《크리티아스》에 처음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크리티아스》에서는 아틀란티스가 플라톤이 살았던 시기보다 9천 년 전, 즉 기원전 9300년 무렵에 아테네 침공 후 바다에 가라앉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현실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가장 유구한 역사를 지닌 문명권인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조차 이때는 아직 거대 문명국이 등장하지 않았던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7
0
0
당나라는 왜 신라를 멸명시키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당나라가 나당전쟁에서 패배한 후에도 당나라의 고종은 신라를 무너뜨려 한반도 전역 정벌을 이루겠다는 미련이 남아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신라를 다시 공격하자는 논의가 있었지만, 와병중이던 시중 장문관이 나서서 양면전쟁을 우려하며 반대하였고 고종이 결국 장문관의 간언을 받아들여 그만두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후 683년 고종의 사망, 후계자 문제 혼란, 측천무후의 즉위로 인한 무주의 건국 등 당나라 내부 사정이 어수선해지면서 결국 당나라의 신라 재공격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7
0
0
청의 만주족 머리인 변발은 한족에게 강요되었나요?
안녕하세요. 1644년에 이자성 장군의 봉기로 명나라가 멸망했고 만주족들은 오삼계의 도움으로 산해관을 넘어 북경을 점령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후 도르곤을 비롯한 만주 귀족들은 청나라의 중국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해 한족 남성에게 변발을 하고 만주식으로 옷을 갈아입길 강요하게 됩니다. 변발 이외에도 청나라는 한족의 복식을 종래의 한푸에서 자신들의 복식인 치파오로 바꾸는 복식의 변화도 강제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7
0
0
에도 막부시기에 상인들의 힘이 커질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애도 막부 시기는 일본 역사에서 가장 강력한 상업화를 이룩하여 일본 내수 경제의 기틀을 잡은 시기로, 이 기간이 20세기, 21세기까지 일본 내수 경제의 규모가 성장하고 유지되는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상인들은 도자기와 우키요에 등을 수출하고 금, 은을 대대적으로 채굴하면서 부를 쌓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상인들의 힘이 급속도로 커질 수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7
0
0
절대주의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치사회적인 의미에서 절대주의는 국가 권력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정치관을 의미합니다. 시민혁명 이전의 전제군주정 국가를 절대왕정이라고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정치관을 가진 국가들은 대부분 왕권신수설을 신봉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자신을 태양왕이라 칭한 프랑스의 루이 14세가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3.07.27
0
0
피델 카스트로의 종신 전제주의적 독재가 가능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쿠바에서 피델 카스트로의 독재가 가능했었던 이유는 언론·통신·발언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라틴아메리카의 좌파 정치인들은 피델 카스트로 정권을 비판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공산 혁명 이후 카스트로의 명령으로 반대파에 대한 즉결처형이 벌어졌으며, 군중심리에 의한 인민재판도 자주 행해졌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7
0
0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작품들은 무엇을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뒀나요?
안녕하세요. 괴테의 철학은 기본적으로 형이상학적 인간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존재는 계산이나 분석을 통해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에서도 직관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존재로 이해했습니다.또한 괴테는 그의 예술 철학을 통해서 예술을 인간의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보았습니다. 즉, 예술이 인간의 정신과 감정을 일깨우고 현실 세계를 넘어서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었고 예술작품의 감상과 창작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다뤘습니다. 괴테는 세계사의 철학도 다루었는데, 역사를 단순히 사건의 연속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유와 도덕적 가치에 대한 진행으로 이해하며 세계 역사의 방향과 의미를 고찰했습니다. 역사적 사건들을 도덕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세계사의 진행방향을 예측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7.27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