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임산부 간접흡연..ㅠㅜ괜찮을까요
간접흡연은 직접흡연만큼 좋지않고 당연히 태아에도 유해합니다.아파트같은 공동 거주 형태의 경우 다른 층에서 담배를 피면 다른 호수의 화장실까지 넘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화장실 환기구를 트시고 문을 닫아놓으시길 바랍니다.관리실이나 경비실에 말씀을 드려서 실내 흡연을 다같이 지양하게 하는것도 도움이 되실겁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급체로 사망하면 왜 사망하는거죠??
급체는 오인된 사망원인일 뿐 급체로 사망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만약에 정말 급체가 되어 사망하는 경우라면 음식물의 기도흡입의 문제인 경우일겁니다. 보통 심근경색 등 완전히 다른 질환인데 증상이 비슷해서 오인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밥을 먹을 때마다 콧물이 나오는 건 괜찮은건가요?
일반적으로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게 되면 콧물이 나게 되지만 그 정도가 심할 때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는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음식 유발성 비염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비강 스프레이제제를 식전에 사용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내원하셔서 코안 상태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코 건강 관련해서 진료 봐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면역력이 안좋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마스크를 쓰면 면역력을 증진시키는게 아니라 세균과 바이러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후천적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건강한 음식으로 식사 하시고 운동을 열심히 하시는 등 양호한 생활습관을 유지하시는게 가장 효과적일거 같습니다. 잠도 충분히 자시고 물도 충분히 섭취하시구요. 손을 열심히 씻으시고 청결에 힘쓰는것도 마스크처럼 보호의 역할을 하므로 중요합니다. 이외에 제약회사에서 인증 받고 약국에서 판매되고있는 면역력 증강 영양제도 어느정도 도움이 되실겁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아이들 젖꼭지 사이는 사람마다 다른가용?
사진 상으로 젖꼭지 사이 거리가 보이지는 않지만 물어보신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사람마다 젖꼭지 사이 거리는 다 다릅니다. 너무 극단적으로 멀거나 가깝지만 않으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듯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아기가 찰흙을 입에 넣어서 바로 빼줬는데요!
소아과 선생님이 그렇게 말씀하셨고 실제로 아이도 토나 설사하는 것 없이 전체적으로 건강하다면 크게 걱정하진 않으셔도 될거같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쥐젖은 왜 생기는거고 어떻게 해야 없앨수있나요
쥐젖은 연성 섬유종이라고도 불리는데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쥐젖을 없애려면 피부과에 방문하셔서 CO2 레이저나 어븀 레이저로 없애실수있습니다. 집에서 없애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추천드리진 않습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방귀 냄새가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심해요
방귀의 지독한 냄새는 주로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고기나 콩류, 계란 등을 많이 섭취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또한 변비가 있거나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경우 장내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게 되면 변 성분이 장내 세균에 의해 변성되어 방귀 뀌는 횟수가 늘고 냄새도 더 심하게 되죠.걱정 되시면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수술이나 살을 째는 것을 보는 게 무서운데 의대 가도
의대를 졸업해 학자가 되는 길도 있고 환자를 보는 임상 의학에도 절반 정도가 수술과 무관한 과입니다. 소량의 피에도 공포감을 느끼는 수준이 아니라면 (주사 맞았을때 나는 소량의 피에도 공포심을 느낀다면 이건 좀 힘들지도요) 수술을 피할수있는 과는 많습니다. 너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12개월 아기 구강 상처 어디로 가야 하나요?
많이 놀라셨겠네요. 말씀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판단해보자면 응급실에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한 수준의 상처라고 보여지고만약에 꾸준한 외래 진료가 필요하다면 응급실에서 어느 과에 가야 하는지 알려드릴 겁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5.03
0
0
2944
2945
2946
2947
2948
2949
2950
2951
2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