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양자컴퓨터와 슈퍼컴퓨터의 차이점이뭔가요?
슈퍼컴퓨터의 성능이 아무리 우수해도, 연산이 2진수 체계이고, 0과 1을 순차적으로 처리해야 합니다.반면, 양자 컴퓨터는 0과 1을 동시에 연산하고 처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중 연산 작업에 유리합니다.하지만 아무리 양자 컴퓨터도 특정 부분에서나 압도적인 것이지, 슈퍼컴퓨터를 100% 압도하는 것이 아닙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8
5.0
2명 평가
0
0
전기를해서 열을 나는 전자기기들은 전기에 의해서 금속들이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되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하는 건가여??
전자회로 등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은 저항에 의한 것도 있지만,한편으로는 전압 강하 작용에서 잉여 전압을 날려버리기 위해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5
5.0
1명 평가
0
0
AI가 발전하면 나중에 영어를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말하면 자동으로 번역이 되지 않을까요??
AI가 진보되고 있어서 번역 등도 많이 발전하기는 했지만,아직까지는 100% 번역을 할 수는 없습니다.한편으로는 언어도 시간이 지날 수록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AI도 이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질문자 님께서 가정하신 상황은 아직은 무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2
0
0
가전기기가 충격을 주면 잘안되던것도 잘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전자 회로 기판의 수땜 작업이나 혹은 전자회로와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접촉단자 부분이 아직까지는 100% 완벽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간혹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서 작동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2
5.0
1명 평가
0
0
전자기기에 처음 사용시 급격한 전류가 사용되면서 순간적으로 문제가 될수 있나요??
과거에는 전자회로는 전원을 연결하여 스위치를 켜면, 순간적인 전압 차이때문에 내부 회로가 손상되는 것이 다반사였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전자회로의 전압부분과 반도체 칩 주변에 보호 장치를 연결하여 급격한 전압의 변화의 완급을 조절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30
0
0
배터리는 리듐 말고 다른것으로는 어떤걸로 만드나요?
80년대~2000년 초반때까지만 해도 니켈 카드뮴 혹은 니켈 수소 배터리가 일반적이었지만,낮은 에너지밀도와 짧은 수명때문에 2000년대 중반부터 리튬 배터리로 대체된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9
0
0
전기포트기는 왜 물이 빠르게 끓는지 궁금합니다.
가스레인지는 가스를 연료로 하지만, 전기포트는 전기에너지가 주된 에너지원이고,전기포트마다 다르고, 전기포트의 내부구조도 영향이 있지만,일반적으로 소비전력이 높을 수록 물을 끓이는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9
0
0
리모콘주파수는 다 동일한가요 다른브랜드 제품도?
리모컨의 주파수는 제조사마다 다릅니다.예를 들어 삼성 TV인 경우, 브랜드가 달라도, 삼성 TV끼리는 리모컨이 작동이 되지만,LG TV에는 작동이 안됩니다.그래서 만능리모컨이라는 것은 제조사의 고유 주파수 코드를 설정하여 작동하게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8
0
0
전기 밥솥의 경우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온이 되는데요. 이 원리가 보온병하고 동일한가요?? 아니면 어떤 원리인가요??
전기 밥솥의 경우, 제품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런 원리에요.보통 70~75℃를 최적의 보온온도로 설정하는데,전기밥솥을 전원을 연결하고 75℃로 설정하면, 내부 온도가 0도에서 75℃까지 온도가 상승합니다.내부 온도 감지 센서가 75℃를 인지하면 그 지점에서 상승이 멈추고 유지가 되는게 가장 이상적인데,관성때문에 77~78정도까지 상승합니다.그러면 전기 밥솥의 내부 제어를 통해서 온도를 낮춥니다.,이때 75℃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74~73℃ 정도로 떨어집니다. 그러면 다시 조금 온도를 높이거나 낮춰서 76℃, 74℃ 이런 식으로 조절해서 75℃가 유지되도록 합니다.이를 PID제어라고 하는데,에어컨, 온풍기 등도 이런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8
5.0
1명 평가
0
0
공공충전기를 통한 해킹이 실제 가능한가요?
무료 충전기라도, USB 단자 내에 해킹을 위한 회로 장치가 있고,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연결했을때, 기기가 외부 신호 등을 인식하게 되면 그때부터 해킹이 가능합니다.이는 초기 윈도xp 시절부터 외부 장치, 즉, 프린터,마우스 등을 경유해서 백도어를 형성하게 하는 원리와 비슷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6
5.0
1명 평가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