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리튬이온 배터리 1600용량 고속충전 하지 말라고 써있는데요..
고속 충전 혹은 급속 충전은 배터리의 적정 전압보다 훨씬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입니다.고속 충전 자체가 큰 영향은 없겠지만, 이로 인한 발열 등이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4일 전
5.0
1명 평가
0
0
전기차는 과학적으로 사고가 나지 않거나 외부 손상이 없으면 계속 사용이 가능한건가요??
전기차의 큰 문제점 중 하나가 바로 배터리 문제입니다.아무리 배터리가 안전하다고 해도,사용할 수록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서, 다시 교체해야 합니다.여기서 과연 전기차가 경제성이 있냐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11
0
0
ai가 많은 것을 할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럼 하지 못하는것이 있을까요??
Ai가 급속도로 진보한 것은 사실이지만,그렇다고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수많은 자료가 입력이 되어야 하고, 주변 장치들이 뒷받침이 되어야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9
0
0
라인트레이서를 만드려는데 다이오드가 필요한가요?
L293시리즈는 여러 개 있는데, 그 중 L293D은 L293B와는 달리 내부에 다이오드가 내장되어 있어서, 외부에 다이오드를 연결할 필요는 없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6
4.5
2명 평가
0
0
양자컴퓨터와 슈퍼컴퓨터의 차이점이뭔가요?
슈퍼컴퓨터의 성능이 아무리 우수해도, 연산이 2진수 체계이고, 0과 1을 순차적으로 처리해야 합니다.반면, 양자 컴퓨터는 0과 1을 동시에 연산하고 처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중 연산 작업에 유리합니다.하지만 아무리 양자 컴퓨터도 특정 부분에서나 압도적인 것이지, 슈퍼컴퓨터를 100% 압도하는 것이 아닙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8
5.0
2명 평가
0
0
전기를해서 열을 나는 전자기기들은 전기에 의해서 금속들이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되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하는 건가여??
전자회로 등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은 저항에 의한 것도 있지만,한편으로는 전압 강하 작용에서 잉여 전압을 날려버리기 위해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5
5.0
1명 평가
0
0
AI가 발전하면 나중에 영어를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말하면 자동으로 번역이 되지 않을까요??
AI가 진보되고 있어서 번역 등도 많이 발전하기는 했지만,아직까지는 100% 번역을 할 수는 없습니다.한편으로는 언어도 시간이 지날 수록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AI도 이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질문자 님께서 가정하신 상황은 아직은 무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2
0
0
가전기기가 충격을 주면 잘안되던것도 잘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전자 회로 기판의 수땜 작업이나 혹은 전자회로와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접촉단자 부분이 아직까지는 100% 완벽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간혹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서 작동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2
5.0
1명 평가
0
0
전자기기에 처음 사용시 급격한 전류가 사용되면서 순간적으로 문제가 될수 있나요??
과거에는 전자회로는 전원을 연결하여 스위치를 켜면, 순간적인 전압 차이때문에 내부 회로가 손상되는 것이 다반사였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전자회로의 전압부분과 반도체 칩 주변에 보호 장치를 연결하여 급격한 전압의 변화의 완급을 조절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30
0
0
배터리는 리듐 말고 다른것으로는 어떤걸로 만드나요?
80년대~2000년 초반때까지만 해도 니켈 카드뮴 혹은 니켈 수소 배터리가 일반적이었지만,낮은 에너지밀도와 짧은 수명때문에 2000년대 중반부터 리튬 배터리로 대체된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9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