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기포트기는 왜 물이 빠르게 끓는지 궁금합니다.
가스레인지는 가스를 연료로 하지만, 전기포트는 전기에너지가 주된 에너지원이고,전기포트마다 다르고, 전기포트의 내부구조도 영향이 있지만,일반적으로 소비전력이 높을 수록 물을 끓이는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9
0
0
리모콘주파수는 다 동일한가요 다른브랜드 제품도?
리모컨의 주파수는 제조사마다 다릅니다.예를 들어 삼성 TV인 경우, 브랜드가 달라도, 삼성 TV끼리는 리모컨이 작동이 되지만,LG TV에는 작동이 안됩니다.그래서 만능리모컨이라는 것은 제조사의 고유 주파수 코드를 설정하여 작동하게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8
0
0
전기 밥솥의 경우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온이 되는데요. 이 원리가 보온병하고 동일한가요?? 아니면 어떤 원리인가요??
전기 밥솥의 경우, 제품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런 원리에요.보통 70~75℃를 최적의 보온온도로 설정하는데,전기밥솥을 전원을 연결하고 75℃로 설정하면, 내부 온도가 0도에서 75℃까지 온도가 상승합니다.내부 온도 감지 센서가 75℃를 인지하면 그 지점에서 상승이 멈추고 유지가 되는게 가장 이상적인데,관성때문에 77~78정도까지 상승합니다.그러면 전기 밥솥의 내부 제어를 통해서 온도를 낮춥니다.,이때 75℃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74~73℃ 정도로 떨어집니다. 그러면 다시 조금 온도를 높이거나 낮춰서 76℃, 74℃ 이런 식으로 조절해서 75℃가 유지되도록 합니다.이를 PID제어라고 하는데,에어컨, 온풍기 등도 이런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8
5.0
1명 평가
0
0
공공충전기를 통한 해킹이 실제 가능한가요?
무료 충전기라도, USB 단자 내에 해킹을 위한 회로 장치가 있고,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연결했을때, 기기가 외부 신호 등을 인식하게 되면 그때부터 해킹이 가능합니다.이는 초기 윈도xp 시절부터 외부 장치, 즉, 프린터,마우스 등을 경유해서 백도어를 형성하게 하는 원리와 비슷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6
5.0
1명 평가
0
0
우리나라 반도체 기술은 세계적으로 볼 때 어떤 수준인가요?
한국의 반도체 공정과 관련된 기술력은 세계에서 순위권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한국이 하나부터 열까지 다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종 원자재, 핵심 첨가 물질, 장비, 기자재 등은 수입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점차 일본은 완제품보다는 한국에 원자재 등을 수출하여, 한국이 잘 나갈수록 일본은 앉아서 돈을 버는 그런 구조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 부정론자들의 견해입니다.그리고 반도체 산업은 전체적인 면에서는 노동집약접 산업이라서, 중국 등 후발주자들이 대규모 자금을 끌어들이면 얼마든지 추격이 가능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16
0
0
축구 무료 중계 사이트 보통 일반 웹사이트인가요?
포털 사이트 등에서 실시간으로방송해주는 곳도 있고,아프리카TV등에서도 개인방송으로 진행하기도 하지만,대부분은 토토, 불법 도박과 연계된 사이트들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16
0
0
생성형 AI 기술이 제조업,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빠르게 적용되면서 동시에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도 있는데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과거 산업혁멸 시절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증기기관과 기계의 등장으로 일자리 감소가 우려되기도 했지만,인간의 문명은 그것에 맞춰서 훨신 더 진보했습니다.그리고 지금 현재 미디어 등에서 AI를 너무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결국 Ai도 도구에 불과한 것입니다.인간의 문명은 ai에 맞춰서 진보할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14
0
0
전자 학부에 들어가면 왜 코딩부분이 수업에 있나요??
한국의 대학의 대부분의 전자공학은 반도체에 치중해 있지만,한편으로는 임베디드, 회로, 제어 등의 수업도 있습니다.그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프로그래밍 언어가 필요한데,그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초가 바로 C언어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12
0
0
납땜으로 회로에서 스위치를 때려는데요
납땜 작업에 능숙하다면, 굳이 흡입기 없이도, 인두만 지져서 해당 스위치 소자를 회로 기판에서 분리할 수가 있습니다.그리고 능숙하다면 오히려 흡입기를 사용하지 않는 기술자들도 많습니다.흡입기로 인해서 금속 자체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12
5.0
1명 평가
0
0
컴퓨터 원격조정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원거리에서 해당 컴퓨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몇몇 있습니다.많이 쓰이는 것이 Anydesk, 팀뷰어 등등인데, 해당 컴퓨터의 ip주소를 통해서 접속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오프라인에서는 작동이 안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12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