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Ai기술이 로봇산업과 얼마나 관련되나요?
로봇 기술에 AI를 활용할 수는 있지만,그렇다고 100%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로봇도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려면 AI기술이 필요하겠지만,단순 반복 운동이라면 간단한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히 구현가능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24
0
0
선풍기의 회전 속도는 동일한 모터에 전력이 더 많이 가해지면서 회전 속도가 늘어나는 것인가요??? 그럼 그게 전자의 이동이 더 빨라서 그런건가요??
선풍기의 모터는 대부분이 DC모터이고, DC모터는 허용 전압 범위내에서 전압이 높을 수록 회전 수가 빨라지고 토크가 증가합니다. 이는 모터 내부의 전자석의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24
0
0
5v나 12v, 24v 전원도 감전되나요?
일반적으로 인체에 감전될 수 있는 전압이 60V내외이긴 하지만,열거하신 전압도 전류가 세면, 인체에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24
5.0
1명 평가
0
0
현재 인터넷 바꾸는데 77만원을 준다는 ㅇㅈㄷ이라는 곳 실화인가요?
단순히 인터넷 회선만 바꾼다고 77만원을 현금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꼼수로 1년만에 바꾸면 위약금이 발생하고, 그 위약금을 77만원으로 메꾸라던가 혹은 다른 부가 서비스 등을 신청하라는 것입니다. 방식과 형식이 어찌되었던 간에 일종의 꼼수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22
0
0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전자회로라는 개념이 나왔을때, 초창기에는 전자 신호 등을 입력받으면 결과에 스위치 등을 수동으로 눌러서 출력을 유도했습니다. 즉, 자동제어가 아닌 수동제어였습니다. 그러다보니까 기능이 복잡해질 수록, 회로의 부피가 커지고, 더 복잡해져서 제작과 수리가 난해해졌습니다. 이 단계에서 등장한 것이 트랜지스터이고, 그 트랜지스터들을 집적하여 만든 것이 바로 반도체 칩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22
0
0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데 전자기파가 많이 발생되는 전자기기는 뭐가 있나요?? 요즘 머리가 계속 아픈데 뭔가 주변에 전자기기떄문인가 싶어서요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전자제품 중에서,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기기는 주로 무선통신이나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열선 등이 있는 기기들입니다. 일반 가정집에서는 TV리모컨, 스마트폰, 전자렌지, 전기 장판 등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22
0
0
스마트폰을 밤에 충전하고 자는 것은 배터리에 안 좋나요?
베터리를 장시간 충전하는 것도 배터리의 수명, 용량, 출력 등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습니다.하지만, 현재 출시된 스마트폰인 경우, 밤에 충전하고 나서, 자고 일어나서 사용한다고 해도, 큰 영향은 없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22
5.0
1명 평가
0
0
저는 비전공자이고 대학을 나오지 않았습니다. 고등학교는 인문계를 나왔습니다.
예전 세운상가에서 전자회로를 응용한 졸업 작품을 제작해거나 혹은 질문자 님처럼 아두이노, AVR보드를 응용해서 개조한 제품을 제작해주고 수고비를 받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큰 돈벌이는 안된다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19
5.0
1명 평가
0
0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모터는 다 동일하게 코일과 자석을 통해서 회전하게 만든는 것으로 동일한가요?? 아니면 다른 방식의 모터가 있는건가여?? 궁금합니다.
모터라는 개념자체가 전류와 자기장의 원리를 이용한 원동기입니다.코일의 구성과 위치에 따라 DC모터, 스테핑 모터 등으로 나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15
0
0
ai분야, 우리나라 기업 미래는 어떤가요??
한국의 AI기술력은 순위권 안에 있다고는 하지만, 미국 등 강대국들에 비하면 기술 격차, 인프라, 투자 등에서 격차가 엄차나게 큽니다. 하지만 그 격차는 조금씩 줄여나갈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11
5.0
1명 평가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