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거 실크로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가장 번창한 시기는 언제인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넓은 의미의 실크로드는 기원전 10,000년 전후 빙하기가 끝난 후 문명이 발생하고 인류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는데, 이때부터 생겨난 몇 갈래의 교통로로서 지금까지 문명 간 교류의 통로로 기능하는 것을 지칭한다. 반면에 좁은 의미의 실크로드는 기원전 8~9세기부터 만들어져 근대 이전까지 기능한 동서문명 교류의 통로를 지칭한다. 초원길과 오아시스길의 경우 중앙아시아의 도시국가나 유라시아의 유목국가들에게는 부와 국력의 원천이기도 했으며, 사산조 페르시아부터 일 칸국에 이르기까지 서아시아의 국가들에게도 경제적으로 굉장히 중요했다. 그러나 16세기에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대서양 바다를 통한 대양무역이 확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초원길과 오아시스길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줄어들게 된다.물론 그렇다고 이 길이 완전히 "쇠퇴"했다고 볼 수는 없다. 대항해시대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서구 중심적 옛 사관에서는 내륙 실크로드가 교역루트로서 몰락했다고 간주하기도 했지만, 이쪽도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퍼센트가 줄어들었을 뿐 16세기 이후에도 이들 유라시아 내륙교역로의 무역랑의 절대량은 계속 증가했으며, 티무르 제국과 제국 붕괴 이후의 코칸트 칸국,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등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가 러시아, 페르시아, 인도, 중국을 엮는 삼각무역의 요충지로서 전성기를 지내며 번성하였다. 러시아는 이곳에서의 모피 무역을 비롯한 각종 교역에서 얻은 자본을 통하여 표트르 대제의 서구화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한다. 실크로드 지역이 러시아 제국에게 완전히 정복되는 건 한참 이후의 일이다.근대에는 러시아에 의해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비롯해 여러 대륙횡단철도가 부설되었으나 냉전시대 철의 장막으로 공산권 내부의 교통로 역할로 그 입지가 줄어들었다. 그러다 냉전이 끝난 21세기에는 옛 실크로드를 달리는 철도의 유용함이 주목받고 있다. 안전성[3], 속도 등에서 철도 수송이 해운보다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원래 대항해시대가 시작된 결정적인 이유는 이슬람 세력(오스만 제국)에 의해 육로 교역길이 막혔기에 새로운 교역길을 만들기 위한 것 때문이었다.
Q. 에바 알머슨 Eva Armisen의 유명한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솔직하고 천진난만한 시선, 유쾌하고 사랑스러운 화풍으로 일상을 그려내 감동과 치유를 선사하며한국에서도 많은 팬을 보유하고 그녀!바르셀로나에서 예술학교를 다닌 후지금까지 그림을 그려오며 작가활동을 활발히 하였습니다.자신의 그림이 지닌 대중적인 매력을 잘 알고 있는 그녀는판화, 유화, 드로잉 외에도다양한 매체에 접목하여예술활동을 이어왔는데요.에바 알머슨은2005년 스페인 코카콜라 광고에 작품이 사용되면서 유명세를 얻게 되면서 새로운 작가로서입지를 굳혀가게 됩니다.특히나 그녀는 제주도의 '해녀'를 주제로 한 동화책 라는 책을 출간한 이력이 있을 정도로한국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보여왔습니다또한 그림 에세이 'Evasions-행복을 찾아서'도 공식 출간 되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