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람 눈은 왜 깜빡거리게 설계되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사람 눈은 왜 깜빡거리게 설계되어 있을까요? 궁금합니다.A: 사람 눈은 깜빡거리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눈의 안면부를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깜빡거리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눈은 외부 자극이나 먼지, 광선 등으로부터 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물러나거나, 눈에 묻힌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눈물을 분비합니다. 이 때 눈꺼풀이 빠르게 움직여 눈을 깜빡이면서 눈물이 눈 전체에 고르게 흐르도록 합니다. 이렇게 눈을 보호하면서도 눈을 보호하는 임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뇌에서는 눈꺼풀 깜빡임을 자동으로 제어합니다.또한, 눈이 깜빡거리는 동안에도 뇌는 시각 정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뇌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눈을 감는 동안에도 시각 정보를 계속 처리하고 있어, 눈을 깜빡이는 동안에도 시각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게 됩니다.따라서 눈이 깜빡거리는 것은 눈을 보호하기 위한 생체 반응으로, 시각 정보 처리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눈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Q. 지우개로 볼펜 글씨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썬더스톰님 덕분에 재미있는 질문에 답변이 될수 있는 자료를 찾을수 있는 기회가 된것 같습니다.그럼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Q: 그런데 왜 볼펜, 싸인펜, 매직펜 등의 펜 글씨는 안 지워지니요?A: 먼저 연필심이나 샤프심의 주성분은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인 흑연입니다. 종이 위에 글씨를 쓰면 종이와의 마찰로 인해 파이 결합으로 결합해 있던 육각형의 흑연 판상 입자들의 결합이 파괴되면서 종이 위에 떨어져 나옵니다. 그러면 판상의 흑연 입자가 종이 위에 정전기적으로 붙으면서 우린 눈에는 종이 위에 글씨가 쓰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여기까지 연필의 원리를 이해했다면 지우개의 원리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우개는 연필이나 샤프 등으로 적은 글씨를 지우는 도구로 고무나 플라스틱이 주성분입니다. 지우개는 종이 위에 묻혀져 있는 흑연을 종이보다 강하게 잡아 당겨서 떼어내는 원리입니다. 지우개를 이용해 글씨를 지우면 지우개똥이라고 불리는 것이 잔뜩 생기는데, 강하게 잡아 당기면서 말아내는 방법으로 제거한 결과물입니다.그렇다면 볼펜은 왜 지우개로 못 지우는 걸까요? 그 이유는 볼펜은 흑연이 아니라 잉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잉크의 입자 지름은 약 0.0005mm로 매우 작아서 울퉁불퉁한 종이 섬유질 사이에 스며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지우개로 지우기가 어렵습니다.자료출처: https://v.daum.net/v/_xiwFds/EPlUny8Kmn/6187570603836b28e47a9f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