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남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남선 전문가입니다.

강남선 전문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 지진은 왜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대학교때 지진을 배웠는데,, 전공자가 아닌지라 위키피아 읽어보면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자합니다.지진(地震, 영어: earthquake, quake, tremor)은 지구 암석권 내부에서 갑작스럽게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지진파를 만들어내며 지구 표면까지 흔들리는 현상입니다. 지진은 너무 약해서 느낄 수 없는 크기서부터 사람과 여러 물건을 공중으로 들어올리고 도시 전체를 파괴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격렬한 크기의 지진까지 다양한 강도로 일어납니다.지진은 지구 표면의 땅을 흔들고 암반의 위치를 옮기거나 변성시켜 휘어지게 만들고, 큰 지진의 진앙이 바다 해역 상에 있다면 해저 지형의 변화로 쓰나미가 일어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지진으로 산사태나 액상화 현상 같은 2차 피해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일부 지진은 화산 활동을 일으키기도 합니다.위의 정보는 아래에 정보 출처가 있습니다..즐거운 하루 되세요https://ko.wikipedia.org/wiki/지진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 장판에서 화제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전기장판 때문에 화제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너무 뜨거워서 그런 건 가요?A: SBS 뉴스에 나온 정보를 통해 그 이유를 공유해드립니다.전기장판 불이 쉽게 나는 이유는 열을 낮춰주는 감열선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원래 감열선은 열을 내는 전선 밖에 감겨있는 선으로, 장판 온도가 지나치게 오르면 전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하지만 업체들이 장판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줄이려고 감열선에도 전류를 흘려 열선의 전자파가 상쇄되도록 회로를 조작한 겁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장판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 불이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858804&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화학
화학 이미지
Q.  호일은 무슨성분때문에 불에 안탈까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쿠킹 포일(Cooking foil)의 소재는 알루미늄 입니다.알루미늄의 녹는 점은 660.3도 이며, 끓는점은 약 2,470도씨로 금속이므로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화기로는 녹일 수가 없다고 하네요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변기를 최초로 개발한 사람이 누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재미있는 질문이라 저도 방금 검색해보았습니다.검색 결과를 공유해드립니다.수세식 변기를 최초로 발명한 사람 1956년 영국 귀족 존 해링턴 입니다.WC라는 영문은 존 해링턴의 수세식 변기의 명칭에서 유래했습니다. WC(Water Closet)가 그 용어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수세식 변기의 최초 원형입니다. 물이 담긴 탱크가 수세식 변기 위에 있고 물이 탱크로 들어가는 부분의 손잡이와 배설물 분뇨통으로 흘러가는 밸브 등으로 설계된 존 해링턴의 변기, 하지만 여왕은 너무 소리가 커서수세식 변기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출처] [여왕추모 특허] 엘리자베스 여왕을 위한 발명품, 수세식 변기|작성자 특허법인 메이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어가 심해에서 투명한 색이라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평상시 궁금했던 질문인데자료를 찾다보니 박원규님 자료를 보면 그 답을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박원규님 자료를 공유해드립니다.그리고 아래는 그 내용입니다.Q: 심해어들이 잡혀서 올라오는데, 그 때는 몸통이 투명하지않지만 심해에서는 투명하다고 하더군요. 사실이라면 왜 그런가죠?A: 햇빛이 거의 없는 깜감한 심해에 사는 심해어는 멜라닌 색소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빛이 없어서 심해어의 체세포 중에 색소세포자체가 없기 때문에 투명하다고 합니다.자료출처: https://prezi.com/ufkmvlv0bkuu/presentation/
화학
화학 이미지
Q.  헬륨가스에는 어떤 성분이 들어 있어서 목소리가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1: TV 예능을 보다 보면 한 번씩 헬륨가스를 마시고 말을 하면 목소리가 웃기게 들리는데 이 원리는 어떻게 된 건지 궁금합니다 A: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상당히 낮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헬륨가스를 마시면 매질이 공기에서 헬륨으로 변하고, 밀도가 상당히 낮아져 진동이 빨라지게 됩니다.  진동이 빨라져 진동수가 많아지면 우리의 목소리는 평상시보다 훨씬 높은 소리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Q2: 그리고 이 가스가 안 좋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A: 한꺼번에 헬륨가스를 많이 마시면 혈류장애를 일으키거나 뇌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사망할수 있다고 하니 조심해야겠네요~자료: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9021800797즐거운 하루 되세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물의 염도는 어느 수준 일까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바닷물은 짜잖아요!??왜 바닷물은 짠것이며, 그럼 바닷물의 염도는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 합니다A: 세계 전체 해양의 평균 염분은 34.72‰이며 가장 소금기가 많이 들어 있는 바다는 평균 염분이 약 34.90‰인 대서양입니다. 태평양의 평균 염분은 34.62‰로, 태평양은 대서양에 비하여 건조한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아 해수의 증발 속도가 늦기 때문에 염분이 낮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근해의 평균 염분은 33-34 ‰를 보인다고 합니다. 김치의 염분 농도가 1-1.5 ‰를 보인다고 하니 바닷물이 얼마나 짜다는걸 느끼겠죠이상 바다를 연구하는 연구원이였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 속 생물들은 수면을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바다 속 뿐만 아니라 물속에서 사는 생물들, 그러니까 물고기, 상어, 고래 등 뿐만 아니라, 오징어, 바다 거북 등은 바다 속에서 어떻게 잠을 자나요?A: 물고기를 예를들면 이들 생물들도 잠을 자는데요. 수면시간에 따라 '주행성 물고기'와 '야행성 물고기'로 나뉩니다. 잉어나 붕어, 송어, 돌돔 등은 낮에 활동하고 밤에 잠을 자기 때문에 주행성입니다. 반면 메기나 가시고기 등 낮에 자고 밤에 활동하는 물고기는 야행성이지요. 평소에 잠을 자지만 산란기나 대규모 이동 시기에는 전혀 잠을 자지 않는 물고기도 있습니다. 부레가 발달된 물고기들은 수면에 떠있는 상태에서 잠을 자기도 하고, 상어처럼 부레가 없는 물고기는 아주 깊은 바다 속에서 수면을 취한다고 합니다. 또한 잠든 물고기는 물 속에서 수평으로 떠있거나 머리를 수면 쪽에 두고 꼬리와 지느러미를 늘어뜨립니다. 거꾸로 머리를 해저로 박고 꼬리가 수면으로 향한 채 잠드는 고래도 있다고 합니다. 무리를 지어다니는 물고기는 무리 속에서 잠을 자기도 하고, 모래나 뻘 속에 파묻혀 자거나 점액질을 분비해 몸을 감싸기도 합니다. 호기심이 생기는 질문이라 저도 자료를 찾으면서 유익한 정보를 얻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물고기 수염이 하는 역할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물고기도 매기는 빠가사리(동자개)같은 경우에는 수염이 아주 길잖아요 이런 물고기의 수염이 하는 역할은 무엇일까요?A: 보통 물고기 수염은 턱밑에 나 있는데요 자료를 찾아보니 시각의 보조기관, 촉각, 후각, 미각,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고, 플랑크톤 같은 먹이를 걸러 먹는데 사용한다고 합니다. 레이더 같은 역할을 하는데 물 속의 주변 상황과 외부 자극을 재빠르게 파악해서 생존을 위한 사냥 도구로 쓰인다고 하니 물고기의 수염은 매우 중요한 구조로 판단됩니다. 질문에 답변을 위해 자료를 찾다보니 저도 유익한 정보를 알게되었네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꽃게나 가재를 익히면 빨개지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어떤 원리로 익히면 그렇게 빨간 색을 띠는 건가요?갑각류와 어패류가 적외선의 악영향으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 색소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색소가 단밸질과 결합해 있을 때는 청록색을 띠지만 불리되면 붉은색으로 변합니다.70도이상되면 단백질과 아스타산틴 색소의 결합이 끊어져 붉은색을 띄게 됩니다.관련 기사: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323215.html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