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신영 전문가입니다.
강신영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2년 3월 19일 작성 됨
Q.
5살아이 밥먹는 습관 뭄의해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집에서는 질문자님께서 맛있는 음식을 해주어 밥보단 반찬이 맛있어 반찬을 먹는 것으로 보여지고, 어린이 집에서는 반찬이 맛이 없어 밥을 먹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아이가 밥을 먹을 때 좋아하는 것만 먹는 버릇이 생겨 이것이 편식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여집니다.우선 아이가 좋아하는 반찬등으로 볶음밥, 김밥, 비빔밥 등을 만들어 아이게 음식에 거부감이 없게 한 후 점차 다양한 재료로 음식을 만들어 주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2년 3월 19일 작성 됨
Q.
식탁앞에만 오면 눈을감아요. 반찬이맛이없는건 아닌데. .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편식이 심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편식하는 수가 줄어들기는 하지만 당장에 엄마의 마음은 안타깝고 서운한 감정이실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 재료와 질문자님께서 아이에가 먹이고 싶은 음식 재료를 섞어 볶음밥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아이가 잘 먹게 된다면 점점 더 질문자님께서 원하는 음식 재료를 넣어 아이에게 만들어 주시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2년 3월 19일 작성 됨
Q.
첫째와 둘째사이의 질투 갈등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첫째의 입장에서는 둘째로 인하여 부모님의 사랑을 많이 빼았기고 있다 생각하여 동생을 경쟁자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부모님들은 둘째가 더 어리기 때문에 둘째를 더욱 챙기려 하고 이를 본 첫째는 이에 대하여 질투를 하게 됩니다.아이 혼자 있을 때와 아이 둘이 있을 때의 훈육방법은 동일하게 하되 개월수에 따라 다르게 하시면 됩니다. 다만, 첫째 둘째 둘다 있을 때에는 둘째를 챙기더라도, 첫째에게는 따로 동생이고 더 어리기 때문에 동생을 챙긴 것이다, 첫째에게 너가 더 힘든 것 알고 부모는 첫째 편이다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2년 3월 19일 작성 됨
Q.
여자아이 사춘기 극복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한테 가장 중요한 사람이 부모였는데 부모에서 친구들로 바뀌는 시기에 사춘기가 많이 오게 됩니다. 그 때 아이들은 부모님의 말보다 친구들의 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친구들에게 더욱 의지하고 믿다보니 부모님과의 마찰이 심해지게 됩니다. 우선, 아이에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시고 어른의 입장에서 아이와 이야기 하는 것보다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와 계속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랑을 주신다면 아이의 사춘기에 큰 트러블 없이 지나가실 수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2년 3월 19일 작성 됨
Q.
자다가 소변을 싼 아이 일시적인걸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대소변을 가리는 아이라 하더라도 꿈을 꾸면서 꿈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해 소변을 봤을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큰 문제가 아니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두세번정도 있을 수 있으니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양육·훈육
2022년 3월 18일 작성 됨
Q.
말 안듣는 아이 어떡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반항을 할 때와 귀찮아서 하는 행동일 때 방법이 다릅니다.만약 아이가 짜증이 나서 부모님께 반항하는 것으로 대답을 하지 않는 것이라면 아이의 화나 짜증이 풀릴 때까지 기다려 주시다가 훈육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만약 아이가 모든 것이 귀찮아서 하는 행동이라면 왜 그렇게 말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등 아이에게 화를 내지 마시고 타이르듯이 아이를 달래주시길 바랍니다. 이후 아이가 무엇 때문에 이렇게 행동하는지 물어보신 후 해결책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2년 3월 18일 작성 됨
Q.
자기가 잘 못자는 이유 왜그런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중간에 깨는 이유는 아직 오랫동안 자는 습관이 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가 고프거나, 대소변을 하거나, 몸이 불편하거나, 졸릴 때도 중간에 깨서 울기도 합니다. 상황에 따라 깨서 우는 이유가 다르고 정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아이가 어렸을 때 엄청 힘들어 합니다. 질문자님께서도 많이 힘드실 것으로 보여지는데 조금만 더 힘내주시길 바랍니다~
놀이
2022년 3월 18일 작성 됨
Q.
수를 좋아하는 아이를 어떻게 키우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직 5살이기 때문에 강제로 학원을 보내는 것은 좋지 않지만 아이가 수를 좋아한다면 아이가 수학학원, 주산 등이 수학에 대한 흥미를 더욱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학원에 대하여 아이와 함께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아이가 학원에 다니는 것을 원한다면 그 때 학원을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2년 3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말하기시작하는 평균 시기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건 사람마다 다 달라 평균을 내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4살 아이인데도 엄마, 아빠, 까까 등 단어만 말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 문장으로 말하는 아이가 있습니다.만약 단어의 의미정도를 파악하는 시기의 평균을 말하시는 것이라면 대략적으로 1돌이라 보여집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2년 3월 18일 작성 됨
Q.
신생아가 곧 태어날 예정인데 고양이를 키워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가 어떠한 알레르기가 있는지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아이와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아이의 심리에 좋은 영향을 줍니다. 아이가 안정감을 찾을 수 있고 아이가 동물에 대하여 소중히 여기는 생각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개인적으로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