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강요셉 전문가
프리랜서
음악
음악 이미지
Q.  노래 듣고 코드 쉽게 따는 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음악을 들으며 바로 코드를 딸 수 있는 사람은 질문자의 말대로 태어날 때부터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만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절대 음감은 공부해서 얻을 수 있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질문하신분은 포기하는게 좋을 듯하네요 나도 50여년을 성악가로, 성악 선생님으로 살아 왔지만 절대음감은 생기지 않았어요 지금도 성악 학도를 가르치고 있지만 절대음감을 가진 학생을 만난적이 없네요 미국에서 유학할때도 많은 선생님을 만났지만 이탈리아 선생님 한분만이 절대음감을 가지고 계셔서 여쭈어 봤더니 역시 태어날때부터 절대 음감을 가지고 계셨다고 하시더군요
음악
음악 이미지
Q.  공연 티켓 잘 예매하는 방법이나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유명한 가수가 오케스트라등 티켓을 구하는것은 하늘의 별따기와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선 가장 중요한것은 광고가 나오는 순간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에 모여 앉아 티켓팅을 한다고 합니다 조금이라도 늦으면 순식간에 매진이 됩니다 때문에 가장 먼저 연주인들의 information과 스케줄을 알 수있어야 합니다 미리 준비하고 있지 않으면 결코 티켓을 구할 수가 없을겁니다 유명 가수나 오케스트라의 연주 계획은 미리 알 수가 있답니다 연주 스케줄을 알았다면 연주의 스폰서를 통하여 티켓을 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색상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4%의 인구가 어떤 형태로든 공감각을 경험한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색상을 들을 수 있다? 난생 처음 듣는 소리입니다 색상이라는것이 소리를 가지고 있다?미안하지만 너무 허무 맹랑한 질문 같아요 색깔은 눈으로 느끼는것이지 소리로 느끼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질문하신 분이 잘못 알고 질문하신것 같아요 맘에 드는 답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아코디언은 어느나라에서 만든 악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아코디언은(영어:accordian,독일어:Akkodeon,프랑스어:accodeon,이탈리아어:fisarmonica)또는 손풍금 이라고도 하는데 바람통과 리드가 달린 상자형의 악기로 악기학상으로는 리드 오르간의 일종으로 불리며 1822년 독일의 프리드리히 부시만(Christian Friedrich Ludwig Buschmann)이 발명한 것을 첫 아코디언으로 보는것이 일반적이며 당초의 아코디언은 온 음계식이어서 반음계를 연주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연주도 간단하였지요. 피아노식은 19세기 후반에 제작이 되었고 그 뒤 세계적으로 피아노식이 쓰이고 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노래할 때 창법이 다 다르다 하는데 목소리의 영향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그렇습니다 창법 즉 발성법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납니다 소리는 호흡을 통해 성대 근육을 움직여 소리를 내는것입니다 목구멍을 활짝 열고 횡경막을 사용하여 호흡을 통하여 소리와 모음을 만드는것이기에 쉽지가 않아요. 우리나라에서 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하고 미국,이탈리아,독일,프랑스등으로 유학을 가서 공부하고 돌아 오지만 성공하는 성악가는 다섯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어려운것이 성악 창법입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피아노 조율하는데 드는 비용은 대략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피아노 조율은 조율사에 따라 가격이 다르고 피아노의 상태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요즘 가정용 업라이트 피아노는 7~10만원 180cm 이하 그랜드 피아노는 12~15만원정도이며 180cm 이상의 연주용 그랜드 피아노는 20만원 정도 하는데 실력있는 피아노 조율사를 만나야 조율을 잘 할 수 있으며 비전공자의 피아노는 1년에 한번 전공자의 피아노 조율은 적어도 6개월에 한번은 반드시 해주어야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음악이 없다면 사회적인 유대감과 대중문화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음악이 없는 세상은 앙꼬없는 찐빵이라는 이야기하고는 비교할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상상을 해 보아도 음악이 없다면 이 세상이 얼마나 메마르겠으며 감정이 없는 로보트와 같은 삶을 살지 않을까요 내가 성악가라 이렇게 말하는것이 아니라 음악이 없다면 춤도 없을것이고 리들이 없다면 운동 선수들도 유연한 몸을 만들수 없으리라 생각되며 체조선수들의 몸짓이 나올 수 있을까요 음악이 없는 이 세상은 그야말로 메마른 사막과 같은 세상이 아닐까요 그러므로 우리는 음악이 있음을 감사하고 음악을 작곡하신 분들과 이 음악을 아름답게 만들어 우리 귀에 들려주는 분들이 있기에 행복한게 아니겠습니까
음악
음악 이미지
Q.  고양이 왈츠와 비슷한 음악은 어떤게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고양이가 고양이 왈츠를 듣고 좋아한다면 자신의 울음 소리로 노래를 하기 때문이라 생각되네요 고양이를 위한 음악이 그리 많지 않지만 성악가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모짜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에 나오는 편지의 이중창을 들려 주면 어떨까 생각이 드네요 여성 두사람의 부드러운 가사와 음악이 좋을것 같기도 하네요 한번 try해 보시면 좋을것 같네요
음악
음악 이미지
Q.  음악을 맨날 듣게 되면 귀가 왜 피곤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사람의 귀를 피곤하게하는 데시벨이란것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래서 정부나 온 세계에서 소음 데시벨을 재는 기계를 만들었지요 질문하신분의 질문을 100프로 이해하기 어렵지만 같은 음악을 계속해서 듣는다면 귀가 피곤한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에 느껴지는것이 귀로 느껴지는것이라 착각할 수도 있습니다 성악가로 50여년을 살아온 전문가인 나도 같은 음악을 계속 듣지 못합니다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다른 곡들 사이에서 여러번 들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음악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즐기는 음악 애호가라면 그런일은 일어나지 않을것이라 생각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오페라는 언제 부터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우리가 현재 즐기고 있는 오페라의 기원은 이탈리아 피렌체의 바르디 백작의 저택에 있던 카메라타 (Camerata)라는 단체에서 그리스의 비극을 재현하기 위해 쓰인 다프네(1598년)라는 곡인데 악보가 남이 있지를 않고 오늘날까지 악보가 남아 있는 오페라는 1600년에 공연이 된 에우리디체(Euridice)라고 합니다. 1600년 전후의 이탈리아 피렌체는 르네상스라 부르는 시기였고 르네상스를 지나며 오페라도 발전하기 시작했지요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