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 입니다.
곽주영 전문가
썬라이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2일 전 작성 됨
Q.
복지 정책 많이 하면 우리나라 경제 동향에 영향이 안갈까요?
복지정책이 소득 불평등 완화, 저소득층 최저 생계 보장 등 장점도 많지만 너무 과도할 시 국민들의 근로의욕이 저하되고 과도한 국가부채 증가로 미래세대의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복지수준은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합니다.
22일 전 작성 됨
Q.
왜 요즘 다들 기준금리 인하만 기다리는건가요?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가계는 대출을 통한 소비와 투자를 늘리고 기업 또한 고용과 투자를 늘립니다. 이는 경기부양 효과가 있으며 시중유동성을 증가시켜 주식, 부동산 등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어 많은 투자자들이 금리인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2일 전 작성 됨
Q.
한국 은행이 물가 목표치를 정하는 이유가 뭔가요?
인플레이션이 심하면 자산가들이 가진 부동산, 주식 등의 평가가치는 급격하게 오르는반면 저임금 노동자들의 임금은 거의 오르지가 않습니다. 이는 시장에 저임금 노동자들의 공급이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만약 국가가 시장원리를 무시하고 강제로 임금을 올리려고 한다면 더 큰 인플레이션이 오고 경제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22일 전 작성 됨
Q.
돈 절약방법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돈이 들어오면 최소한의 생활비를 제외한 대부분의 돈을 적금이나 주식 등에 투자해 강제로 소비할 돈을 없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소비할때는 현장에서 충동구매보다는 집에 돌아가서 검색등을 통해 꼭 필요한 지출인지 확인해보고 소비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습니다.
23일 전 작성 됨
Q.
재정적자랑 국가 부채는 같은 의미 아니에요?
재정적자는 정부의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 발생하는 적자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국가부채는 정부가 미래에 갚아야 할 모든 채무로 국채 발행이나 차입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포함합니다. 재정적자가 단기적 현금흐름 문제라면 국가부채는 장기적 재정 건전성 문제로 구분되며 두 개념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만 발생시점과 관리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