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조천웅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화학
2023년 6월 4일 작성 됨
Q.
철이 녹이 스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물질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를 합니다.물에 타는것도 산화의 일종인데 이것을 빠른 산화라 합니다. 철이 녹이 스는 것도 산화의 일종인데 이것을 느림 산화라 합니다.철 Fe는 산소 O2 는 산소와 결합응 하여 산화철이 되며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녹슨철이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화학공학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철을 제련할 때, 코크스를 넣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철광석에 함유된 철이 대부분 산화철이기 때문에 코크스를 이용해 산회철에 붙이 있는 산소 성분을 제거한다고 합니다.산소와 잘 반응하는 물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지만 이러한 물질로 코크스(석탄)가 이용되는 것 뿐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북극과 남극은 왜 추운 날씨를 유지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의 변화는 보통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진 상태로 태양 주변을 공전하기때문에 만들어 집니다. 쉽게 설명하면 태양의 빛이 많을때는 여름 적을때는 겨울인데 남극과 북극 즉 극지방도 지구의 자전축 영향을 받아 계절은 존재 합니다. 다만 더추운 겨울 덜추운 겨울 쯤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생물·생명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인류와 유전적으로 비슷하다고 하는 고릴라도 사람의 혈액형과 비슷한 갯수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원숭이는 A, B, AB, O형으로 혈액형이 사람과 유사하다고 합니다.침팬지의 경우 A, O형만 있으며 오랑우탄은 O형을 제외한 A,B,AB 형 세 가지가 있는 반면에 특이하게도 고릴라는 모두 B형만 있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생물·생명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침을 쏘고 나서 꿀벌은 죽고 말벌은 살아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꿀벌이나 말벌이나 위협이 느껴지면 침을 쏘는 것은 같습니다. 다만 침을 쏘면서 꿀벌의 경우 침과 함께 뱃속 장기가 같이 딸려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죽게 됩니다.반면 말벌의 경우 침이 피스톤 처럼 일부만 나와 침을 쏘고 다시 들어가는 원리 입니다. 즉 꿀벌의 침은 1회용인 반면 말벌의 침은 다회용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토목공학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적도 지방의 국가는 지리적 여건 상 농사가 가장 잘 되는 국가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반드시 적도지방이라고 농사가 잘 되지는 않습니다.농사를 위해서는 따뜻한 날씨 및 적당한 강수량과 비옥한 토지가 필요 합니다.하지만 적도의 경우 강렬한 태양빛으로 인해 식물이 오히려 타죽는 경우고 발생하며 농사의 경우는 저위도보다는 온화한 날씨인 중위도에서 더 잘 됩니다. 참고로 한국은 중위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생물·생명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미라를 연구하면 당시에 걸린 질환들도 확인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방사선 동위원소 등을 통해 살던 시대를 추측할 수 있으며 장기의 손상을 통해 질병이나 사망원인도 추측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라의 신체 구조를 통해 성별 빛 나이도 추측가능하며 위장에 남아 있는 음식물을 통해 식량으로 이용된 것이 무엇인지도 추측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생물·생명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나뭇잎은 왜 계속 생산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은 동물과 다르게 환경(무생물적 요소)에 영향을 더 많이 받습니다. 특히나 광합성을 통해 살아가기 때문에 빛, 기온, 수분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따뜻한 봄 여름에 비해 가을 특히 겨울의 경우 빛의 양, 기온, 수분 등이 여름에 비해 광합성을 하기에 불리한 조건이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나뭇잎을 떨어뜨립니다. 물론 동물도 식물만큼은 아니지만 겨울잠 등 환경의 영향을 꽤 받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밤하늘에 자리하고 있는 별자리는 계절별로 그 모양을 달리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 어느정도 정답을 알고 질문하시는 것 같습니다. 별자리는 계절별로 1년 내내 변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는데 공전을 하며 태양 반대편의 우주 하늘을 1년 동안 360도 돌면서 볼 수 있는 곳이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계절별로 보이는 별도 달라지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지구 외 행성도 타원형일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자체가 원래 완벽한 구 모양은 아닙니다. 하지만 지구가 타원인 이유중 하나는 자전이 있습니다. 자전으로 인해 원심력이 발생하고 타원의 모양의 원인중 하나가 됩니다. 즉 자전을 하는 행성이면 그 행성 역시 타원 모양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