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조천웅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5일 작성 됨
Q.
새볔 안개는 아침이 되면 지면에서 하늘로 상승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눈에 보이는 지면에 있는 물방울을 안개라고 합니다. 그건 수증기가 아니며 작은 물방울 즉 액체 상태입니다. 새벽에 지면의 온도가 내려가며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들이 물방울로 변하게 됩니다. 하지만 낮이 되어 지면 온도가 올라가면 포회수증기량이 올라가며 그 물방울들은 다시 수증기 형태로 바뀌어 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되는 것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생물·생명
2023년 3월 30일 작성 됨
Q.
동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어떤 환경 요인들이 필요한 걸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과 동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물과 햇빛 적당한 온도 등 비생물적 요소가 있으며 그외에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는 환겨우등 우리가 셀수 없을 만큼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30일 작성 됨
Q.
기압이 높은 곳에서 침을 삼키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외부와 귀속의 기압은 평소에 같은 기압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높은 곳을 올라가거나 내려오게 되면 귀속의 기압과 주변 기압이 다르게 됩니다. 그때 침을 삼키게 되면 우리 귀속 유스타키오관의 덮게 부분이 열리며 순간적으로 기압이 같아지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30일 작성 됨
Q.
태양의 중력이 더 강력해진다면 지구는 점점 태양과 가까워지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도는 것을 공전이라고 하는데 공전은 안쪽으로 당기는 구심력과 밖으로 나가려는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며 꾸준하게 공전을 하는 원리입니다. 하지만 질문에서와 같이 태양이 당기는 힘 즉 구심력이 커지게 되면 지구는 공전을 하면러 점점 태양게 가까워지며 결국 소멸하지 않을까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화학
2023년 3월 30일 작성 됨
Q.
신김치에 달걀껍질을 넣으면 왜 신맛이 줄어드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중화작용이라는 건데요. 신김치는 발효에 의해서 산렁으로 변합니다. 그리고 산성은 보통 신맛이 입니다. 반명에 달걀껍질은 염기성 물질 입니다. 산성물질과 염기성 물질이 만나는 중화반응은 서로 반응하여 산성의 성질과 염기성의 성질이 없집니다. 즉 신맛이 나는 김치는 염기성인 달걀껍질에 의해서 산성이 중화되며 덜 시어지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전기·전자
2023년 3월 25일 작성 됨
Q.
자석의 N극과S극이 있는 자석은 반으로 자르면?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N극 S극은 상대적 입니다. 자석하나에 N극과 S극이 나눠있지만 반으로 자르면 반으로 잘린 두 덩어리는 다시 각각 N극과 S극으로 나눠지게 됩니다.
화학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어렸을 때 우리 혀에서 느끼는 맛은 4가지가 있다고 배웠습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단맛 신맛 짠맛 쓴맛은 혀에서 미각세포를 통해 느끼는 맛입니다. 반면 매운 맛은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가 아닌 아픔을 느끼는 통각에 의한 것 입니다. 즉 매운맛은 혀가 느끼는 아픈맛입니다. 아픔을 느끼지만 그것을 맛의 힌종류라 착각을 하는 것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갑자기 초등 2학년생이 이런 질문을 하네요..대략 난감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속력과 속도는 다른 개념이라기보다는 빠르기와 방향 유뮤 입니다.우리가 얼마만큼의 빠르기로 가는지를 나타낼때는 속력의 개념을 쓰는 반면 빠르기뿐만 아니라 방향까지 나타낼때는 속도의 개념으로 나타냅니다. 10m/s의 속력으로 한바퀴 돌아 제자리에 온다면 그건 속력은 10m/이지만 속도는 0이 됩니다.
토목공학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엉뚱한 질문을 받았는데...제대로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고정도르래 1개는 힘의 크기를 줄여주지는 않습니다. 다만 힘을 줄 수 있는 방향을 바꿔줘 우리가 쉽게 일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반면 움직도르래가 1대 추가 된다면 필요한 힘의 양은 반으로 줄어듭니다. 다만 이동 거리도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움직도르래가 1개씩 추가 될때마다 힘의 양은 절반으로 줄어들지만 움직일 수 있는 거리도 절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화학
2023년 3월 24일 작성 됨
Q.
오랜만에 동네 목욕탕에 가서 묵은 때를 벗겼습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매질에 따라 굴절을 하는데요. 물속 다리에에 반사된 빛이 물 밖으로 나오면서 굴절을 하게 되고 우리 눈과 뇌는 실제 다리가 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에서 빛이 온다고 생각하여 짧에 보이는 원리 입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