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권명희 전문가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나이에비해 말하는게 느린 어린아이?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언어발달은 아이마다 다를수 있습니다. 아이가 나이에 비해 말이 느리더라도 다른사람의 말뜻을 이해할수 있고 타인과 눈맞춤을 하며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진다면 아이의 언어발달을 위해서 언어에 대한 노출을 많이 해주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다양한 책을 읽어주거나 책을 읽으며 따라 읽게 하는 것도 좋으며 아이와의 대화도 수시로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동화영상이나 테잎도 많이 들려주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혹여나 아이가 말이 느린것이 걱정이 되시면 병원이나 언어 치료전문 선생님과 상담을 한번 해보셔도 좋을듯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공부할때 책상에 스탠드를 키고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공부를 할때 방안의 형광등은 눈에 직접적인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눈의 피로가 쌓일수 있습니다. 반면에 책상위에 스탠드는 적절한 위치에두고 적당한 밝기를 설정하며 공부를 하게 되면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며 시력보호에 더 좋습니다. 특히 공부할때 LED스탠드를 선택하면 블루라이트의 해로운 영향을 최소화 할수 있기 때문에 시력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어린아이한테 돈에 관한 관념을 어떻게 심어줘야 좋을까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어린아이들에게 돈의 개념을 알려준다고 해도 이해하기 어려울수는 있다고는 보지면 미리 접해주는 것도 좋다고는 봅니다. 아이에게 돈의 개념을 알게 하기위해서는 종이돈을 만들어 물건을 사고 파는 시장놀이를 해보셔도 좋을듯 합니다. 시장놀이를 통해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알게 되고 돈의 가치의 경험도 할수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들한테는 좋은 경험을 할수 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또한 집안의 심부름 하면 소액의 금액이라도 주어서 저금통에 저금을 하도록 하는 것도 돈에 대한 개념을 알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이 듭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학교에서 50분 공부하고 10분 휴식은 어떤 원리로 정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학교에서의 수업시간과 쉬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 이유는 학습효율과 학생들의 건강을 고려한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은 긴시간 동안 공부를 하게 되면 피로가 쌓이고 집중력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집중하고 10분간 휴식을 취함으로써 뇌가 피로하지 않게 효율적으로 학습을 할수 있기 위함이라고 생각이듭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아이들 용돈 언제부터 주고계신가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에게 용돈을 줄때는 돈의 대한 개념이 있을시기에 주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대부분 초등하교에 입학하게 되면 돈의 대한 개념을 알수 있고 필요한 것이 생길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입학한후에 용돈을 주셔도 좋을 듯 합니다. 저학년일 경우에는 주단위로 해서 5000원씩 주셔도 괜찮을듯 하며 용돈을 줄때는 범위내에서 계획성 있게 쓰도록 알려주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아이들에게 용돈을 주면서 스스로 관리하고 절제하는 방법을 배우게 함으로써 어릴때부터 경제 관념을 알게 하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321
322
323
324
3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