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권명희 전문가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아침을 안먹을려고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장기때는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것도 중요하고 아침을 먹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런데 아침을 꼭 밥으로 먹어야하는 것은 아니니 일주일에 먗번은 아이가 먹고 싶은것을 먹여도 괜찮다고 봅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입맛이 없어서 밥먹기가 싫어할수도 있는데 밥을 먹이고 싶으시면 간단한 주먹밥도 좋고 아니면 아침밥을 대체할수 있는 과일과 시리얼 또는 간단하게 먹을수 있는 샌드위치등도 괜찮습니다. 아이와 잘 조율해 보시기 바래요.
유아교육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아이가 항상 시끄럽고 공공장소에서도 그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를 방문하기전에 아이에게 공공장소에서 지켜야할 규칙을 먼저 알려주고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때는 밖으로 데리고나오거나 집으로 온다고 약속을 정하고 가시는게 좋습니다. 만약 공공장소에서 규칙을 잘지키면 바른 행동에 대해 칭찬을 해주고 그렇지 않을경우에는 단호하게 약속한대로 집으로 데리고 오셔야 합니다. 부모님과 아이들간의 약속한 것을 행동으로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은 반복되는 행동을 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밥을 먹으면 체하는게 너무 심해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밥을 먹고 자꾸 체힌다는것은 밥을 먹기 싫을때 억지로 먹거나 빨리 먹기 때문입니다. 밥은 천천히 20~30번 씹는 것이 좋다고 하니 아이가 밥을 먹을때는 급하게 먹지말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는거라고 알려주시고 부모님이 아이와 함께 행동으로 보여주셔도 좋을듯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이상한 노래를 자꾸 반복하는아이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노래를 반복적으로 부르는것은 노래가 재미있거나 멜로디가 자꾸 떠올라서 부르는것일수도 있습니다. 노래를 반복적으로 부르는것이 나쁘다고는 할수 없지만 혹여나 부모님께서 듣기가 이상한 가사의 노래라면 아이가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시고 자제시키면 좋을듯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8세 아이가 요즘들어 짜증이 늘었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점점 본인의 생각과 주관이 뚜렷해지기때문에 무언가 불만이 있거나 충족되지 않았을때 나타나는 감정표현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낼때는 스스로 누그러질때까지 조금 기다렸다가 아이가 짜증을 부린이유에 대해서 물어보면서 아이의 말에 공감을 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나서 아이에게 짜증부리는 행동에 대해 짜증을 안내고 말을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아이가 부모의 성격도 그대로 물려받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어느정도 부모의 성격을 유전적으로 물려받기는 하지만 환경적인 부분도 무시못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부모의 행동이나 말투, 가정환경, 상호작용등을 통해 배우고 따라하기 때문에 유전적인부분과환경적인 부분에서 복합적으로 성격이 형성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2월 21일 작성 됨
Q.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를 위해 핸드폰은 언제쯤 사주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에게 핸드폰은 늦으면 늦을수록 늦게 사주는것이 좋기는 합니다. 그런데 초등학교에 입학을 하게되면 아이와 연락할수 있는 일이 종종 생기기도 하는데 연락이 안될경우에 걱정도 되고 불안한 마음이 듭니다. 그래서 요즘은 초등학교 입학하면 핸드폰을 사주는 경우가 데부분입니다. 핸드폰을 사주고 게임에 빠질까 걱정되시는 부분들이 많은데 아이와 핸드폰을 할수 있는 적정시간과 규칙을 정하시는게 중요합니다. .
양육·훈육
2024년 2월 21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잘못 했을 때 자기를 때리는 행동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잘 못을 했거나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자신의 머리를 때리거나 벽에 머리를 박는 경우가 있으며 소리를 지를 때도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일종의 '분노발작' 증상으로 답덥한 속마음을 말로 표현하지 못해서 표출하는 증상입니다. 이럴 때는 차분하게 안정시켜 주는 것이 우선입니다. 즉 살포시 안아주고, 진정시켜주세요. 그리고 몸을 때리면 안되다는 것을 일러주며, 하고 싶은 말을 유도하세요. 그 과정에서 너무 예민하게 안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혼자 자는걸 무서워 해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혼자자는것을 무서워서 부모님과 같이 자기를 바란다면 급하게 서두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처음부터 아이혼자 자게 하는것보다는 당분간 아이가 안정감을 갖고 익숙한 공간이라는 것을 인지할때까지 며칠동안은 부모님께서 함께 주무시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잠이들면 방문을 열어넣은상태로 혼자서 잘수있도록 하고 아침이되서 일어나면 씩씩하게 혼자도 잘자네! 하며 꼭 안아주시고 칭찬을 많이 해시면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애착인형을 끌어안고 자게 하면 아이의 불안도 해소하고 혼자서도 잘 잘수 있을겁니다.
양육·훈육
2024년 2월 21일 작성 됨
Q.
성장기 남자아이 키크는데 도움을 줄수 있는 운동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은 성장단계에 있으니 작다고 나무 걱정하지 말고 열심히 뛰어놀게끔 하고 잘먹고 일찍 자게 하면 키크는데 도움이됩니다. 그래도 걱정이 되시면 . 축구, 농구 , 줄넘기 ,태권도 ,등 부모님과 함께 즐거운 운동 시간을 갖는다면 키크는데도 도움 될뿐 아니라 아이의 정서발달에도 좋습니다.
336
337
338
339
3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