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뱅크런이 발생했을때 강제로 예금 인출을 막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 국가에서는 은행이 파산할 경우 예금자 보호를 위해 보험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은행이 파산해도 예금 인출이 가능하며, 보험 기관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그러나 예금 인출을 막는 것은 극히 예외적인 상황에서 가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위기 상황에서 은행들이 대규모 파산하면 금융 시스템이 붕괴할 위험이 있어서 금융 당국이 예금 인출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국가나 지역의 금융안정을 위한 비상 대책으로만 사용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예금 인출을 막을 수 없습니다.
Q. 차트 보는것에 뭔가 정답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차트를 보는 것은 정답이라기보다는 각자의 분석 방법과 판단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차트 분석에는 여러 가지 지표와 도구가 있어서, 이를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거래량은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지만, 다른 지표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동평균선, MACD, RSI 등의 기술적 지표를 활용하면 추세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 재무제표와 같은 기초적인 분석을 함께 고려하면 더욱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하지만 차트만으로 모든 것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경제적, 정치적 상황 등 여러 가지 외부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트 분석을 하면서도 항상 상황을 지켜보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보다는 현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상장폐지 요건 중 자본잠식률은 개별 기준인가요 연결기준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국증권거래소에서 상장된 기업들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개별 및 연결 기준을 모두 적용하여 작성합니다. 따라서 상장폐지 요건 중 자본잠식률 또한 개별 및 연결 기준 모두 적용됩니다. 다만, 개별 기준과 연결 기준에 따라 자본잠식률의 수치가 다를 수 있으며, 상장폐지 여부는 그 중에서 더 높은 수치를 적용하여 판단됩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의 개별 기준 자본잠식률이 -50%이고, 연결 기준 자본잠식률이 -30%인 경우, 상장폐지 여부는 연결 기준을 따라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