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녀에게 금융지식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
안녕하세요. 고윤정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어린이들이 돈에 대한 개념과 경제, 금융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님께서 이미 경제, 금융 관련 책을 보여주고 사주고 계시다니, 아이가 경제, 금융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것은 아주 좋은 일입니다.아이들이 돈과 경제, 금융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경험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주식투자나 적금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와 함께 가계부를 작성하거나, 일주일 동안 지출을 기록하며 예산을 관리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에게 지금은 돈을 얼마나 모아야 하는지, 목표에 따라 돈을 어떻게 저축해야 하는지 등을 가르쳐주면서 실제로 돈을 모아보는 체험을 시켜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주식투자나 적금도 아이에게 실제로 체험시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주식투자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자신이 선택한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하는 과정을 체험하면서 어떤 원칙에 따라 주식을 선택해야 하는지 등을 가르쳐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아이가 직접 적금을 개설하고 돈을 모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따라 돈을 저축하며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부모님께서 아이와 함께 돈과 경제, 금융에 대한 대화를 자주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궁금한 것이나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부모님과 함께 찾아보고 이해하면서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Q. 그룹에서 순환출자를 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그룹에서 순환출자는 그룹 내부의 자본과 자금을 움직여서 조직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출자입니다. 순환출자는 그룹 내부의 자본과 자금을 조작하여, 한 회사나 부서의 이익을 다른 회사나 부서로 이전하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그룹 내의 한 회사가 다른 회사에게 자금을 대출하는 경우, 대출을 받은 회사는 이 자금을 사용하여 자신의 사업을 확대하거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룹 전체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그러나 순환출자는 그룹 내부의 자본과 자금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외부 투자자나 감독 기관들로부터 불법적인 조직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환출자는 기업 경영과정에서 합법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그룹 전체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Q. 섀도우보팅(Shadow Voting)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섀도우보팅(Shadow Voting)은 기업의 주주가 아닌 다른 이해관계자들이 일종의 비공식적인 투표를 통해 기업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참여자들은 보통 기업의 이해관계자인 노동조합, 소비자, 환경단체, 지역사회 등이며, 이들이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그 의견을 주주총회 등에서 공식적으로 제안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섀도우보팅은 비록 비공식적인 투표이지만,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기업의 경영진이 고려하게 되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주주가 아닌 이해관계자들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섀도우보팅이 공식적인 주주투표를 대체할 수는 없으며,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해서는 주주들의 공식적인 표결을 통해 결정되어야 합니다.
Q. 비상장주식 증권거래세율은 어떻게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비상장주식의 양도세 및 증권거래세에 대한 세율은양도세:양도차익(양도가액 - 취득가액)에 대한 세율이 적용됩니다.증권거래세:비상장주식의 증권거래세율은 거래 대금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매도금액 전체 기준이 아니라, 거래 대금 중 취득가액 초과분에 대해서만 세율이 적용됩니다.따라서, 비상장주식의 장외거래 후 양도시에는 양도차익에 대한 양도세와 거래 대금 중 취득가액 초과분에 대한 증권거래세가 적용되며, 증권거래세는 거래 대금 기준이 아니라 취득가액 초과분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