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내부는 어떻게 생겼고 무엇으로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내부의 층상구조는 지진파의 속도 변화를 기준으로 크게 지각, 맨틀, 외핵, 내핵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지각: 지표에서 모호면까지의 구간으로 암석층2.맨틀: 모호면에서 지하 2,900㎞까지의 구간으로 전체 부피의 약 82%를 차지하며 유동성 있는 고체 물질3.외핵: 지하 2,900㎞에서 5,100㎞까지의 구간으로 액체 상태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층4.내핵: 5,100㎞에서 지구 중심(6,400㎞)까지의 구간외핵과 내핵은 철과 니켈의 무거운 물질로 구성 지각과 맨틀은 규산염광물이 주성분입니다.외핵이 액체로 되어 있어 지구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이 우주의 유해물질로 부터 지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비가 오고 난 후 무지개가 생성되는 자세한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의 생성원리는 비가온뒤에는 공기에 물방울이 날아 다니거든요.그때 햇빛이 비춰지면 햇빛은 가시광선인 빨,주,노,초,파,남,보가 있읍니다.그리고 가시광선이 다른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색에따라 색의굴절정도가 틀려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공기중에 떠도는 물방울에 햇빝이 들어가면서 굴절 (이유는 공기와 물에서의 빛에 속도가 다르기때문에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빛이 굴절하는 것입니다)하고 물방울 끝에 부딫쳐서 반사되고 (이것은 굴절각이 입사각 보다 크기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전반사라고 하죠) 다시 나가면서 굴절되서 프리즘과 똫같은 효과를 가질수 있게 됩니다 그럼 이제 나가면서 굴절이 가장 적게되는 빨간색과 가장 크게 굴절되는 보라색 그사이에있는 다른색들이 무지개를 형성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