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심해어종중 식용으로 쓰이는 생물?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물레고둥신복족목 물레고둥과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심해에서 서식하는 고둥 입니다. 각고 74.4mm, 각폭은 40.8mm 입니다. 수심 200~500m 사이에서 서식 합니다. 큰구슬우렁이와는 다르게 식감이 부드러우면서 단맛과 감칠맛이 진합니다. 일본에선 싱싱한 것을 회나 초밥으로 먹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삷아서 숙회로 먹거나 무침으로 먹습니다. 구이나 튀김 등으로 먹어도 맛있다고 합니다.훔볼트오징어태평양 동부에서 서식하는 오징어의 일종으로 가문어라고도 불립니다. 크기는 2m에 무게는 45kg까지 자라며 주로 수심 200~700m 사이에서 활동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대왕오징어와는 다르게 식용은 가능한 편 입니다. 그러나 다량의 염화암모늄이 살에 포함 되어 있어서 암모니아 향이 나는 데다가 산미가 매우 강한 편이고 작은 오징어들보다 질기기 때문에 강한 조미를 해서 가공 합니다. 흔히 우리가 먹는 가문어나 거대한 문어발이 훔볼트오징어가 가공 된 형태 입니다. 남미에서는 인기 있는 식재료 인데다가 오징어를 식재료로 하는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훔볼트오징어를 잡을 때에는 다른 오징어들을 잡을 때처럼 밤에 엄청나게 밝은 조명을 바다에 비춰서 배로 유인해서 잡습니다. 다만 훔볼트오징어가 사납기 때문에 낚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그 만큼 성취감이 있는 낚시감으로 나름 대로 인기가 있는 편 입니다.대게십각목 대게과의 갑각류로 우리가 2번째로 흔히 볼 수 있는 심해어 입니다. 대게는 수심 30~1800m의 심해에서 서식하며 몸통에서 뻗어나간 다리가 대나무처럼 생겨서 '대게'라고 부릅니다. 대게의 맛은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게들 중에서도 최상급으로 쳐줍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모든 게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대중적으로 인기도가 높고 가격도 비쌉니다. 거기다 육수 재료로서도 훌륭한 식재료로 먹고 남은 껍질만 푹 끓여서 육수를 내도 그 맛이 좋습니다. 다만 암컷은 수컷에 비해 크기가 작고 다리도 짧아 먹을 부위가 별로 없고 상품성이 떨어집니다. 또한 생식이 가능한 종으로 다리를 잠시 뜨거운 물에 담그면 속살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데, 이를 얼음물에 담가뒀다 물기를 제거한 후 먹습니다. 내장은 색깔에 따라서 흑장과 녹장, 황장, 황녹장으로 분류 됩니다. 일반적으로 황장이 가장 고소하며 맛이 좋고, 그 다음이 녹장, 마지막으로 흑장이 쓴 맛은 강하고 맛도 떨어지는 평이 대부분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대부분은 바다로 되어 있는데 바다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처음 지구는 우주를 떠돌던 암석 덩어리가 모인 둥근 구름 덩어리 모습이었어요. 여기서 암석이 서로 뭉쳐지면서 방사성 물질이 만들어 낸 열과 내부에서 커진 압력으로 생긴 열이 암석을 녹였어요.지구가 자전하면서 용암 속에 포함된 철 같은 무거운 물질은 지구 중심으로 모이고, 가벼운 물질은 지구 표면으로 이동했지요. 용암이 계속해서 표면으로 분출하면서, 이산화탄소와 메탄 같은 기체가 함께 터져 나와 두꺼운 구름층을 만들었어요. 구름층은 기체가 지구 밖 우주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막으면서, 아주 천천히 지구의 온도를 낮추었어요.지구 표면이 식으면서 수증기가 생겼고, 구름층은 수증기를 모아 물방울로 만들었지요. 지구 표면 온도가 300도 정도가 되었을 때, 구름층에 가득 모인 수증기는 비가 되어 내리기 시작했어요. 뜨거운 지구 표면에 닿은 비는 다시 수증기가 되고, 그 수증기는 다시 위로 올라가 비가 되어 내리는 일이 지구에 홍수가 날 때까지 오랫동안 되풀이되었어요.수억 년이 지나는 동안 지구에 내린 비는 강물이 되어 이동하다가 육지에서 움푹 파인 곳으로 모여 바다가 되었어요. 또한,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자 결국 자연스럽게 구름층이 얇아지고, 바다와 육지에 햇볕이 비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바다에서 생명체가 탄생하게 되었답니다. 결국 바닷물은 지구 속에서 분출한 수증기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