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반딧불이 자체 발광할수 있는건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원리는유일하게 '반딧불이'에게만 있는 "발광세포"에서 빛을 내기 때문인데요, 발광세포가 빛을 내는 원리는 발광세포 안에 들어있는 [루시페린]이라는 화학물질이 자극을 받으면 활성화되어 [루시페라아제]라는 화학물질로 바뀌고, 이 루시페라아제가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서 빛으로 바뀐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중력은 지구 범위내에서는 모두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력장은 멀어질 수록 약해지지만, 0이 되지는 않고0으로 수렴합니다. 따라서 중력은 무한한 거리 까지 미칩니다.하지만 보통 사람들이 무중력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거리는 약 1000km 입니다.지구의 대기권도 약 1000km 까지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별들은 보통 성간먼지들이 뭉쳐 질량이 커지게 되고,질량이 커질수록 인력이 강해져서 일정크기 이상이 되면,중력이 너무 강해서 중심부에서 핵융합이 일어나면서별이 됩니다.핵융합이 시작되느냐 안되느냐에 따라 여러 분류로 나뉘는데요.갈색왜성, 적색왜성, 주계열성으로 나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어종중 식용으로 쓰이는 생물?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물레고둥신복족목 물레고둥과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심해에서 서식하는 고둥 입니다. 각고 74.4mm, 각폭은 40.8mm 입니다. 수심 200~500m 사이에서 서식 합니다. 큰구슬우렁이와는 다르게 식감이 부드러우면서 단맛과 감칠맛이 진합니다. 일본에선 싱싱한 것을 회나 초밥으로 먹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삷아서 숙회로 먹거나 무침으로 먹습니다. 구이나 튀김 등으로 먹어도 맛있다고 합니다.훔볼트오징어태평양 동부에서 서식하는 오징어의 일종으로 가문어라고도 불립니다. 크기는 2m에 무게는 45kg까지 자라며 주로 수심 200~700m 사이에서 활동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대왕오징어와는 다르게 식용은 가능한 편 입니다. 그러나 다량의 염화암모늄이 살에 포함 되어 있어서 암모니아 향이 나는 데다가 산미가 매우 강한 편이고 작은 오징어들보다 질기기 때문에 강한 조미를 해서 가공 합니다. 흔히 우리가 먹는 가문어나 거대한 문어발이 훔볼트오징어가 가공 된 형태 입니다. 남미에서는 인기 있는 식재료 인데다가 오징어를 식재료로 하는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훔볼트오징어를 잡을 때에는 다른 오징어들을 잡을 때처럼 밤에 엄청나게 밝은 조명을 바다에 비춰서 배로 유인해서 잡습니다. 다만 훔볼트오징어가 사납기 때문에 낚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그 만큼 성취감이 있는 낚시감으로 나름 대로 인기가 있는 편 입니다.대게십각목 대게과의 갑각류로 우리가 2번째로 흔히 볼 수 있는 심해어 입니다. 대게는 수심 30~1800m의 심해에서 서식하며 몸통에서 뻗어나간 다리가 대나무처럼 생겨서 '대게'라고 부릅니다. 대게의 맛은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게들 중에서도 최상급으로 쳐줍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모든 게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대중적으로 인기도가 높고 가격도 비쌉니다. 거기다 육수 재료로서도 훌륭한 식재료로 먹고 남은 껍질만 푹 끓여서 육수를 내도 그 맛이 좋습니다. 다만 암컷은 수컷에 비해 크기가 작고 다리도 짧아 먹을 부위가 별로 없고 상품성이 떨어집니다. 또한 생식이 가능한 종으로 다리를 잠시 뜨거운 물에 담그면 속살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데, 이를 얼음물에 담가뒀다 물기를 제거한 후 먹습니다. 내장은 색깔에 따라서 흑장과 녹장, 황장, 황녹장으로 분류 됩니다. 일반적으로 황장이 가장 고소하며 맛이 좋고, 그 다음이 녹장, 마지막으로 흑장이 쓴 맛은 강하고 맛도 떨어지는 평이 대부분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행기를 타면 귀가 멍멍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를 타고 급속히 높은 곳으로 상승하거나 고층건물의 고속 승강기를 타는 경우 많이 느끼게 되는 증상인 귀통증과 귀막힘, 아이들의 경우 귀가 멍멍해요 라고 이야기하는 경우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외부의 대기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상황에서 고막 안쪽 가운데 귀의 공기는 아직 이전 대기압으로존재하여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아 고막이 바깥쪽으로 팽창되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오는것을 예측하는 동물들은?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개미는 강우와 같은 날씨 조건의 변화를 포함하여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뛰어난 감각 능력을 가진 고도로 적응된 곤충이라고 합니다. 작은 크기와 단순해 보이는 행동에도 불구하고 개미는 비를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몇 가지 특성을 보입니다.개미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환경에서 화학적 및 물리적 신호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매우 민감한 더듬이입니다.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물방울이 땅과 다른 표면에 쌓여 개미의 민감한 더듬이에서 감지할 수 있는 독특한 냄새와 진동을 생성합니다.비를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미의 또 다른 특징은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입니다. 개미는 더듬이와 몸의 다른 부분에 있는 흡습기라는 특수 기관을 통해 공기와 토양의 수분 수준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공기가 더 습해지면 개미는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고 들어오는 강수량에 대비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마귀를 잡아먹는 동물이나 곤충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사마귀 천적은 주로 여치(돼지여치)거나 장수말벌, 다른 사마귀나 곤충은 아니지만 배회성 거미류, 등등 있습니다벌중 사마귀의 천적이라 보거나 라이벌관계에 있다 보는 종은 장수말벌이나 꼬마장수말벌입니다.오히려 장수말벌의 경우 사마귀의 천적이죠소형 톱사슴벌레나 암컷사슴벌레는 왕사마귀가 사냥해 먹기도 합니다 .제가볼때 야생에서 사마귀에 가장큰 천적은 사마귀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대부분은 바다로 되어 있는데 바다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처음 지구는 우주를 떠돌던 암석 덩어리가 모인 둥근 구름 덩어리 모습이었어요. 여기서 암석이 서로 뭉쳐지면서 방사성 물질이 만들어 낸 열과 내부에서 커진 압력으로 생긴 열이 암석을 녹였어요.지구가 자전하면서 용암 속에 포함된 철 같은 무거운 물질은 지구 중심으로 모이고, 가벼운 물질은 지구 표면으로 이동했지요. 용암이 계속해서 표면으로 분출하면서, 이산화탄소와 메탄 같은 기체가 함께 터져 나와 두꺼운 구름층을 만들었어요. 구름층은 기체가 지구 밖 우주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막으면서, 아주 천천히 지구의 온도를 낮추었어요.지구 표면이 식으면서 수증기가 생겼고, 구름층은 수증기를 모아 물방울로 만들었지요. 지구 표면 온도가 300도 정도가 되었을 때, 구름층에 가득 모인 수증기는 비가 되어 내리기 시작했어요. 뜨거운 지구 표면에 닿은 비는 다시 수증기가 되고, 그 수증기는 다시 위로 올라가 비가 되어 내리는 일이 지구에 홍수가 날 때까지 오랫동안 되풀이되었어요.수억 년이 지나는 동안 지구에 내린 비는 강물이 되어 이동하다가 육지에서 움푹 파인 곳으로 모여 바다가 되었어요. 또한,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자 결국 자연스럽게 구름층이 얇아지고, 바다와 육지에 햇볕이 비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바다에서 생명체가 탄생하게 되었답니다. 결국 바닷물은 지구 속에서 분출한 수증기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에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 누리호는 만드는데 비용이?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누리호 1회 발사 비용은 약 1200억∼14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이와 비교해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 비용은 약 883억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어 더 개선이 필요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은하수란 무엇인가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수는 우리은하의 단면이 지구를 감싸는 모양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궁수자리 방향을 보면 우리은하 중심부를 볼 수 있읍니다.즉 은하수는 우리은하의 일부입니다 지름이 10만ly(light years - 광년)밖에 안됩니다.하지만 관측가능한 우주의 반지름만 전파가 닿을 수 있는 최대거리인 465억ly입니다 즉지름은 460억×2 930억ly로 은하수의 93만배나 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