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베트남은 어떻게 커피 강국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 생산국입니다. 로부스타종 커피를 주로 생산하고 있는데 요즘엔 지속가능한 커피이면서 고품질의 아리비카 커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프랑스에 의해 1857년 아라비카종 커피나무가 들어왔으며 베트남 전쟁 이후 고산지대를 개간하여 로부스타종 커피나무를 대규모로 재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카톨릭이 한국에 들어온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양에 천주교를 처음으로 전파한 성직자들은 인류애의 사상과 개척정신에 불타고 있던 예수회 신부들이었습니다. 한국에 처음 전해진 것은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수차례 명나라에 사신으로 왕래한 이수광이 M.리치의 《천주실의》《중우론》등을 그의 저서《지봉유설》에 소개한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일본의 천주교 전파는 15세기 중엽에 시작된 포르투갈의 세계진출은 15세기 말 아시아에 도달하였습니다. 1546년 예수회 선교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가 가고시마에 상륙하여 전파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애민군주들은 어떤분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대표적인 애민군주는 제4대 세종대왕입니다.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백성들의 의사소통을 원할하게 하고 출산휴가를 노비에게까지도 부여하고 자격루와 혼천의 등을 발명하여 백성들의 삶을 편안하고 윤택하게 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산다는것은무엇인가요사후의세계는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간은 유한한 존재이기 때문에 사후 세계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됩니다. 그래서 종교를 통해 절대자에게 의지할려는 성향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생물학적인 측면에서는 사람은 태어나서 살다가 죽으면 없어지는 존재이기 때문에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고 봅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의 비변사라는 곳의 정확한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비변사는 군국기무를 관장하는 문무합의기구입니다.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관청입니다. 비국 주사라고도 합니다. 비변사는 왜란과 호란 이후 조선말기에 의정부와 6조 기능을 일부 가져간 까닭에 묘당이라고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술을마시는주도중에서 어른하고술마실때에고개를 돌리고마시는이유가뭘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도는 술자리 예절을 의미합니다. 어른과 술을 마실 때 술잔을 부딪힐 때에는 잔을 약간 아래로 하여 부딪히고 술을 마실 때는 고개를 약간 돌려서 마시는 것이 예의라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3.8선과 휴전선은 서로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5년 8월 15일 해방이후 북위 38도선을 기점으로 이남에는 미군이 이북에는 소련군이 진주하여 형식적으로는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내세웠으나 실질적으로는 군정을 실시하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이후 1950년 6.25한국전쟁을 겪고난 후 현재의 휴전선으로 휴전합의가 이뤄져서 휴전선 155마일이라고 명명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라이트 형제가 1903년 12월 17일 세계 최초 로 동력비행에 성공한 후 하늘을 날아다니는 이 물체는 세계의 관심거리였습니다. 1913년 4월 3일 경성의 용산 비행장에서 일본인 나라하라신지가 만든 오오도리라는 이름의 비행기가 고도 200m쯤 날아올랐다가 연병장을 돌고 내려앉은 3분 정도의 비행을 실시했습니다. 비행이라기 보다는 떳다내려 앉은 정도였으나 모든 사람들은 이를 신기하게 여겼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이 일어난 경위가 뭔지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8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을 지휘 감독하던 미군장교 2명이 북한군에게 도끼로 살해당한 사건입니다. 이는 유엔군 3초소가 조선인민군 3개 초소에 둘러싸여 있어서 5초소에서 3초소를 지켜줘야 하는 상황에서 3초소와 5초소 사이의 미류나무 때문에 시야 확보가 어려워서 가지치기를 하던 중 조선인민군 수십명이 갑자기 나타나 도끼로 미군장교를 죽이고 인부들을 협박한 사건입니다. 이로 인해 미국 등 유엔군은 준전시상태에 돌입했으나 북한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사건을 주동한 박철 등을 처벌한다고 하여 일딘락된 사건입니다.
역사
2024년 3월 22일 작성 됨
Q.
왜곡된 역사, 다시 바로잡아야 할까요? 아니면 그냥 두어야 할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아 본보기로 삼거나 경계로 삼아 다시는 오옥의 역사를 되풀이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거울로 삼아야 합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