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29일 작성 됨
Q.
고조선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멸망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기장군은 사람들을 모아서 끝까지 왕검성을 지키고자 했습니다. 그러자 한은 이번에는 우거왕의 아들을 매수하였습니다. 성기장군을 죽이고 한으로 넘어오면 잘 대해주겠다고 말입니다. 결국 우거왕의 아들은 성기장군을 죽이고 한에 항복하였습니다. 이때가 기원전 108년이었습니다. 고조선은 이렇게 멸망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9일 작성 됨
Q.
이방원의 <하여가>와 정몽주의 <단심가>는 실제로 이방원과 정몽주가 지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말선초에 성리학에 바탕을 둔 신진 사대부가 등장하였고 목은 이색의 휘하에 포은 정몽주 등의 절의파와 삼봉 정도전 등의 역성혁명파로 나뉘게 됩니다. 태종이 될 이방원은 이성계의 부인 강씨의 명에 따라 정몽주를 회유하려고 했으나 정몽주는 고려 체제를 그대를 두고 개혁하려고 하였고 이방원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하여 정몽주가 단심가를 부르자 이방원은 회유가 어렵다고 판단해 술취해서 선죽교를 지나가는 정몽주를 철퇴로 때려 죽이고 맙니다.
역사
2024년 1월 29일 작성 됨
Q.
일본 여행을 가면 신사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경우를 종종보는데요. 일본은 예식장 대신 신사에서 결혼식을 하기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식 결혼을 화식결혼식 줄여서 화혼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신사에서 이루어져 신 앞에서 올리는 결혼식이라는 의미의 신전식이라고도 부릅니다. 신전식은 메이지 33년(1900년) 당시 황태자(이후 다이쇼천황)가 동경대신궁에서 올린 결혼식을 시작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전에는 집에서 주로 결혼식을 올렸는데 이후 신사 결혼식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1월 29일 작성 됨
Q.
인구밀도가 높은 국가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인구밀도 순위는 제1위 모나코 2위는 싱가포르 3위는 바레인 4위는 몰타 5위는 방글라데시 6위는 바티칸 7위는 몰디브 8위는 팔레스타인 9위는 바베이도스 10위는 대만 11위 모리셔스 12위 산마리노 13위 르완다 14위 나우루 15위 레바논 16위 대한민국 17위 코모르 18위 부룬다 19위 투발루 20위 이스라엘 21위 인도 22위 네덜란드 23위 아이티 24위 벨기에 25위 그레나다 등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29일 작성 됨
Q.
암행어사의 권한은 어디까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암행어사는 조선시대 왕의 측근의 당하 관원을 지방 군현에 비밀리에 파견해 위장된 복장으로 암행하게 한 왕의 특명사신입니다. 직급상으론 지방의 관찰사가 더 높은 직위였으나 왕의 특명에 의한 특별직이었기 때문에 관찰사를 비롯한 지방관들에 대한 감찰과 통제기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기근구제와 민생규휼 소송이나 소원처리 삼정문란의 규찰 풍속규찰이나 효자 열녀 선비의 추천 등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9일 작성 됨
Q.
이방원은 왜 남재는 살려주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재는 1394년 당시 정안군이었던 이방원을 따라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하였습니다. 아무도 수행하려 하지 않았던 호송을 자청했으며 누구도 정안군을 예로 대하지 않았으나 그만 홀로 정안군을 예로써 대하였습니다. 1396년 문춘추관 태학사로서 도병마사에 임명되어 대마도를 정벌하고 돌아왔습니다. 정도전의 급진적 개혁정책에 염증을 느끼고 정도전 및 그의 친한 동생 남온하고도 거리를 두었습니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정도전의 충실한 협력자였던 남온과 달리 정안군이 그를 자신의 사가로 보내어 목숨을 구했습니다. 이후 잠시 의령으로 쫓겨났다가 복귀하였습니다. 태종 이방원의 세자 책봉을 건의하는데 총대를 매었고 후에 태종이 충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하고자 했을 때도 발빠르게 움직여 뜻을 받들었습니다. 여러 관직을 두루거쳐 영의정에까지 올랐습니다. 남재의 초상에 세종이 문상을 올 정도였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1월 29일 작성 됨
Q.
곶감말이(곶감쌈)는 한과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곶감말이는 호두를 곶감에 쌓아서 먹기좋게 잘라놓은 한과입니다. 검붉은 곶감 사이에 하얀 호두가 박혀서 보기도 좋을 뿐 아니라 곶감의 단맛과 호두의 고소함이 어울려 그 맛 또한 뛰어납니다.
역사
2024년 1월 28일 작성 됨
Q.
가나안 땅은현재의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나안은 유대민족이 하나님에게 약속받은 땅으로 현재 이스라엘 땅입니다. 고대 이스라엘 민족이 살고 있던 곳으로 로마의 침략으로 전세계로 흩어져서 살면서 핍박을 받다가 19세기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되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으나 이미 그곳에 터전을 잡고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들이 있어서 그들을 강제로 쫓아내고 이스라엘을 건국하였습니다. 이것이 불씨가 되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에 끊임없는 분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28일 작성 됨
Q.
소련의 붕괴 원인인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9년 혁명과 1991년 소련의 서기장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를 통해 소련을 개혁하고자 하였습니다. 1991년 12월 25일 핵무기를 발사 권한을 포함한 전권을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에게 넘겨주었고 미국은 이를 승인하였습니다. 이로써 소련 11개 공화국은 분리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철학
2024년 1월 28일 작성 됨
Q.
벤담이 공리주의에서 제시한 쾌락의 결정기준은 무엇이라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벤담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의 판단 기준으로 삼아서 쾌락은 선 고통은 악이라고 보았습니다. 벤담은 쾌락의 기준으로 강도 지속성 확실성 순수성 원근성 다산성 범위 등 7가지로 보았습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