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사또는 무과 출신인가요? 아니면 문과 출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흔히 사극에서 볼 수 있는 사또/안전은 문관 경외관직 기준으로 종6품 현감 종5품 현령 종4품 군수 종3품 도호부사 정3품 대도호부사 목사 종2품 가마 부윤 정2품 판윤 등에 해당하는 수령직으로 해당 고을 사람들은 원님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나 중세 유럽이나 이슬람등에서 노예의 자식은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가 끝난 후 중세에서도 노예제는 계속되었습니다. 농업이 중시된 중부 내륙에서는 농노제가 선호되면서 노예의 수요가 줄어든 반면 해상 무역이 성행한 지멱에서는 노예 무역이 성행하였습니다. 피렌체의 경우 기독교도가 아닌 이교도들은 노예수입의 대상이 되었고 곧 제네바의 부유한 가정들은 대부분 노예를 두게 되었습니다. 로마제국이 성노예를 금지한 것과는 달리 가사 목적을 위해 사들인 여성 노예들의 성착취가 만연하였습니다. 이탈리아에서는 어머니가 노예인 경우에는 아버지가 자유인인 경우라도 노예가 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 같은 이슬람 국가에서는 고대 노예제를 상당 부분 이어받은 것이기도 했으며 동시대 이탈리아 북부 도시들과도 유사했습니다. 오스만제국 특유의 빡빡한 재산법 때문에 노예를 소유하는 것 자체가 어마어마한 재산상 손실이 많았기 때문에 하녀 2-3명만 나두고 해방시켜 자기 토지에 농사를 짓도록 하였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음식 "부꾸미"의 어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찹쌀가루나 차수수가루를 반죽하여 둥글납작하게 빚고 소를 넣어 반달 모양으로 지져낸 유전병입니다. 중국의 젠빙과 비슷한데 한자어로는 전병으로 같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 소림사에서 무술이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천 5백년의 역사와 전통을 가진 소림 무술은 중악 숭산의 소림사에서 시작되었는데 인도 승려 보리 달마대사가 좌선에 지친 승려들의 심신단련을 위해 창시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에서 가장 큰 무인도는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큰 무인도는 캐나다의 데번 섬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크기는 55247km2로 우리나라 크기의 절반 정도나 되는 커다란 섬입니다. 데번 섬은 사람이 살기 어려운 환경과 추위 때문에 무인도가 된 셈입니다. 겨울이면 기온이 영하 50도 가까이 내려갈 정도로 춥고 비도 거의 내리지 않아서 몇몇 조류들이 살고 있습니다. 사실 원래 1930년대 이전에는 이누이트족이 살았었는데 소수의 이누이트들이 거주하다가 결국 이 섬에서 살기 어려워 떠나게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동 분쟁의 원인이었던 시오니즘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인들은 전세계로 뿔뿔히 흩어져서 생활했지만 유대인의 전통과 규범에 따라 생활하다보니 주변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그들만의 방식을 지니고 살아갔습니다. 이는 주변사람들에게 멸시와 천대를 받는 원인이 되었고 더군다나 주 예수를 파멸시킨 민족이라는 손가락질을 받으면서 살아야 했습니다. 19세기 말 부터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되돌아가자는 운동)이 전개되면서 예루살렘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곳에는 이미 팔레스타인들이 터를 잡고 살고 있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은 강제적으로 팔레스타인들을 내쫓고 1949년 이스라엘을 건국하였습니다. 쫓겨난 팔레스타인들은 각지를 방랑하다가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을 만들어 이스라엘과 크고 작은 전쟁을 벌여오다가 협상을 통해 서안지구와 가자지구 두 곳의 자치주에 자리를 잡고 살게 되었으나 여전히 이스라엘의 통제권 하에 놓여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청자의 상감기법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전 은입사기법과 같이 금속공예의 발달은 상감기법에 영향을 주었는데 상감기법은 금속 도자기 목재 등의 표면에 무늬를 파고 그 속에 금이나 은을 넣어 채우는 기술입니다.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을 더욱 빛나게 해주는 기법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진안대군 이방우의 생애와 업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안대군은 고려 말의 문신이자 태조 이성계의 적정자입니다. 1388년 위화도 회군 이후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고려 정권을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우는데 기여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조선 건국 이후 불교에 귀의하여 정치 참여를 거부하였고 이로 인하여 동생 이방원과의 갈등도 심화되었습니다. 결국 그는 1406년 역모 협의로 체포되어 유배지인 황해도 토산에서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이방우에 대한 평가는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웠으나 정치를 거부하고 승려가 됨으로써 가족 간의 불화와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서는 전체인구에서 양반비율이 얼마나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양반 비율은 초기에 7%에서 후기에는 70%정도 입니다. 후기로 갈수록 양반의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혼란을 틈타 공명첩의 발행과 관직매매 족보 위조로 양반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게 됩니다. 조선 후기 대구의 호구조사의 내용을 보면 양반층이 증가한 통계를 알 수 있습니다. 이 자료를 토대로 보면 1690년 제1기 때에는 9.2%에서 1729년-1732년 제2기 때에는 18.7%로 1783년-1789년 제3기 때에는 37.5%로 증가하며 1858년 제4기 때에는 70.3%까지 양반층이 증가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성종이 어우동은 사형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우동은 조선시대 성종 시기 장안의 화제였던 팜프파탈입니다. 어우동은 같이 어울러 통하다라는 뜻입니다. 황당하게 소박을 맞고 홀몸이 된 어우동은 수산수 방산수를 비롯한 왕족들 과거 급제자 홍찬 등 양반 그외에 양인과 노비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대로 간통행각을 벌였습니다. 그런데 간통 상대 중 한 명이 간통사실을 승정원에 신고했고 그녀는 이왕 이렇게 된 거 남자를 사귀라고 꼬드긴 여종과 함께 교수형을 당하였습니다. 사실 조정에서는 일반 간통죄로 다스리려 했으나 성종은 간통죄가 아닌 강상죄(패륜이나 노비가 주인을 살해한 죄 등으로 엄히 다스림)로 처벌하라고 하였습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