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고려에서 궁예의 집권시기를 후고구려라 칭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예는 신라 진골출신으로 태어나 나라를 망칠 놈이라는 예언과 함께 모진 인생 역전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타고난 힘과 재주로 사람을 모아 드디어 후고구려를 세우는 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살아있는 부처인 미륵을 자처했으며 관심법으로 사람들을 사로잡았습니다. 포악한 성격으로 주변의 인심을 잃고 부하인 왕건에 의해 내몰려져 비참한 최후를 맞이합니다. 이전에 신라가 당나라에 청병하여 고구려를 격파하였기에 평양의 옛 서울이 황폐화여 풀만 무성하게 되었으니 내가 반드시 그 원수를 갚겠다고 한 궁예는 고구려를 이은 후고구려를 자칭하면서 신라에서 온 이들은 가차없이 목을 베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동아시아 문화권 나라들이 민폐를 끼치는 걸 기피하는 문화가 자리잡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래 민폐는 관에 의해 민간이 피해를 입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공권력 역시 전쟁이나 압수수색 범죄자 체포 등에서 합법적 민폐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특히 일본인들은 민폐라는 것 자체를 극도로 혐오하며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메이와쿠라고 합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와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남에게 민폐를 끼치는 걸 극도로 기피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사실 동아시아 국가들도 가난할 때는 민폐의식이 옅었으나 경제가 발전하고 전반적인 교육수준이 높아져 사람들의 의식수준이 올라가고 인구가 증가함과 동시에 도시화가 진행되어 인구밀도가 높아지면서 점차 민폐를 꺼리는 문화가 강해졌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명장 이순신 장군은 정말 적에게 총을 맞아 전사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79년 정유재란에서 일본 왜구들은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죽고 전쟁도 지지부진하여 혼란한 상태에서 철군을 하기로 하고 순천 고성 울산 등으로 집결하였는데 조명연합군은 순천왜성을 공격하여 고니시부대를 고립시키면 고성 등에 있던 시마즈부대가 구하러 올 것이라고 내다보고 이순신 장군은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가 300여척의 시마즈부대 중 200여척을 침몰시키고 150여척을 격파시켰으며 150여척이 악착같이 도주하였는데 다시는 조선을 넘보지 못하도록 북을 치며 독려하던 이순신 장군은 적의 흉탄에 옆구리를 관통하는 총상으로 사망하게 된 것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이슬람교 수니파와 시야파의 차이점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함마드 사후 칼리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를 두고 분열하였는데 회당에서 정하자는 수니파(사우디아리비아가 종주국이며 이슬람교도의 85%)와 무함마드의 사촌을 후계자로 하자는 시아파(이란이 종주국으로 15%에 해당)로 나뉘어서 극단적인 대립을 벌이고 있습니다.
문학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롤스가 자립적인 정의 사회는 빈곤하더라도 원조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주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롤스는 원조의 목적이 불리한 여건으로 고통받는 사회른 질서정연힌 사회가 되도록 돕는 것에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질서정연한 사회로 진입한 이후에는 그 사회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빈곤할지라도 더 이상의 원조는 요구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원조의 목적을 모든 인류의 복지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에 두지 않았습니다.
271
272
273
274
2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