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27일 작성 됨
Q.
고려는 발해의 문화를 따라 계승한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와 발해는 당나라 3성 6부제를 차용했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3성 6부인 발해와 달리 고려는 2성 6부제로 자국 운영에 맞게 변형해서 운영하였습니다. 또 고려의 경우 6부에 해당하는 이 호 예 병 형 공부를 당나라에서 그대로 차용했으나 발해는 성격은 비슷하나 충부 인부 의부 지부 예부 신부라는 다른 명칭의 6부로 운영하였습니다. 또 발해는 말갈인을 다스리기 위해 행정조직이 아니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7일 작성 됨
Q.
경종은 임인옥사이후 연잉군 영조를 왕세제에서 내치지 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22년(경종 2년) 노론이 경종을 암살하거나 폐위시키기 위해 일으킨 역모사건으로 일어난 옥사입니다. 신축옥사로 노론의 4대신이 유배형에 처해지자 소론의 김일경 등이 목호룡 등을 시켜 노론이 삼수역(경종을 시해하려는 세가지 방법 첫째 자객을 왕궁에 들여보내 시해하는 방법 둘째 음식에 독약을 타서 죽이는 방법 셋째 왕의 전교를 받아 경종을 폐출시키는 방법)까지 꾸며 경종을 시해하려 했다고 고변하였습니다. 이 고변은 상당한 정치적 파장을 불러일으켰으며 소론은 이 기회에 노론을 완전히 실각시키기 위해 벼르고 있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7일 작성 됨
Q.
장희빈과 경종은 생전에 사이가 서로 좋지 않았던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희빈은 조선시대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어머니로 역사적으로 숙종의 총애를 받아 왕비의 자리에 올랐으나 이후 숙종의 변심과 인현왕후의 복위 등으로 인해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장희빈은 왕의 대를 끊어버리겠다며 경종에게 해코지를 하여 후사를 두지 못하게 됩니다. 그런 이유로 연잉군(영조)을 왕세제로 삼게 됩니다.
역사
2024년 1월 27일 작성 됨
Q.
1987년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우리나라의 민주화에 어떤 계기가 된 사건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두환 정권 말기인 1987년 1월 14일 경찰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 박종철을 불법 체포하여 고문하다가 사망케 했습니다. 이 사건은 공안당국의 조직적인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 진상이 폭로되어 1987년 6월항쟁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철학
2024년 1월 27일 작성 됨
Q.
공자 맹자 이런 사람들이 왜 유명한 거죠.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양사상의 뿌리가 되는 공자 맹자의 사상이기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 춘추전국 시대의 사회적 혼란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많은 사상들이 나왔습니다. 유가 도가 묵가 법가 명가 종횡가 음양가 등이 수많은 사상들이 나왔는데 이를 제자백가 사상이라고 합니다. 이들 사상 중에서 우리나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사상이 유가와 도가입니다. 유가 즉 유교는 양반계층에 번져 종교(종교는 아니지만)적 신념체계가 되었고 도가는 서민계층에 번져 종교적 신념체계가 되었습니다. 유교는 공자 맹자 사상에 기반을 둔 사상입니다. 공자는 사회혼란의 원인을 도덕성 상실에 기인한다고 보고 도덕성(인) 회복을 사회혼란의 극복방안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맹자가 살았던 전국시대는 공자시대보다 더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사회정의를 강조하는 의로움을 강조하였습니다. 공자(인) 맹자(의) 순자(예)가 강조한 사상이 유교사상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391
392
393
394
3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