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16일 작성 됨
Q.
무신이 아닌 문신 강감찬이 승리할수 있었던 비결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감찬은 983년(성종 3년)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예부시랑 한림학사를 거쳐 평장사가 되었습니다. 1018년 서경유수ㆍ내사시랑 겸 내사문화평장사로 임명되었습니다. 서경유수는 군권을 움직일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거란은 5세기에 발원하여 10세기에 발해를 멸망시키고 중국 북부와 만주를 우르는 동아시아의 강대국이 되었습니다. 기마유목민인 거란족은 문치주의를 바탕으로한 송나라 공격을 위해 송과 친교를 맺고 있는 고려를 먼저 쳐서 뒤를 안정시키려고 고려를 공격합니다. 소손녕의 80만의 1차 침입은 서희의 담판으로 물리쳤고 2차 강조정변을 구실로 요나라 성종이 40만 대군으로 2차 침입해와서 현종이 입조를 약조하여 물러갔으나 입조약속이 지켜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소배압의 10만 대군으로 3차침입을 감행했을 때 강감찬은 귀주에서 수공으로 공격하여 거란군을 섬멸하고 살아 돌아간 이는 수천에 불과하였습니다. 강감찬이 승리할 수 있었던 배경은 끝없이 때를 기다리는 끈기와 남풍이 불어 거란의 화살이 위력이 없었으며 수공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는 강감찬이 지형지물을 제대로 이용하였고 때마침 바람의 방향도 남풍으로 바뀌어 승리하게 된 것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16일 작성 됨
Q.
삼국지에서 제갈량은 어디에서 출생하였고 형제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주 낭야국 양도현(현 산둥성 린이시 이난현) 출신으로 다른 제갈가문도 이곳에서 출생하였습니다. 형제로는 7살 연상인 제갈근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누나 2명 동생 제갈균이 있습니다. 사서에 따르면 한에서 사예교위를 지낸 제갈풍의 후손으로 부친 제갈규는 한 말기 연주 태산군에서 군승을 지냈으며 제갈량이 어렸을 때 사망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6일 작성 됨
Q.
오나라의 여몽이 관우를 죽였던 이유는 무엇때문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19년 촉나라의 관우가 위나라 조인이 지키던 번성을 공략에 나서자 여몽은 그 틈을 타서 관우의 배후를 공격해 형주를 공격해 형주를 점령하고 관우를 사로잡아 처형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6일 작성 됨
Q.
일본은 원래 채식위주의 식단을 먹었다고 하던데, 언제부터 육식을 시작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고혼시대까지만 해도 공물로 맷돼지를 바치는 등 육식을 해왔으나 고기를 금지한 것은 아스카시대부터였습니다. 이 시기 우리나라로부터 전래된 불교의 영향이 컸습니다. 불교에서는 살생을 금지한 탓에 육식을 금하였습니다. 675년 덴무 덴노가 육식 금지령을 반포하여 더 이상 고기를 먹지 않았습니다. 무사시대에도 이어져오던 육식금지는 메이지 시대 문명개화라는 이름으로 서양의 식문화를 따라하면서 해제되었습니다. 일본인들의 평균 신장과 몸무게는 이웃국인 한국과 중국보다 낮았습니다. 일본인들은 서양인들의 체형을 갖기 위해 육식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6일 작성 됨
Q.
고구려를 세운 동명왕의 업적은?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명성왕은 고구려 초대 국왕입니다. 원래 동명왕은 부여의 시조인데 고구려가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자 부여의 건국신화를 모방하고 주몽을 동명성왕이라고 불렀습니다. 부여에서 자란 주몽은 원래 활을 잘 쏘아 촉망받던 중 대소 등 금와왕의 일곱아들이 그 재주를 시기하여 죽이려고 하자 화를 피하에 이주하였습니다. 대소의 위협에서 벗어난 주몽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졸본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졸본의 둘째 딸 소서노와 혼인하여 점차 세력을 확장하였습니다. 기원전 37년 졸본 부여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를 건국하였습니다. 고씨로 전해지지만 아버지인 해모수의 성씨에 따라 해씨이며 고구려 태조왕 당시 계루부 고씨가 집권하자 정통성을 위해 시조인 주몽의 성씨를 고씨로 바꿨습니다.
446
447
448
449
4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