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조조가 초반에 인재를 빨리 채용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윤의 생일을 빙자하여 모인 반동탁세력 중에서 조조가 큰소리치며 동탁을 죽이겠다고 하였습니다. 다음날 동탁을 만나러간 조조는 동탁 옆에 맹장인 여포가 있음을 알고 주저했으나 동탁이 조조에게 줄 선물로 서량에서 온 명마를 골라오라고 여포에게 명하였습니다. 여포가 나가자 조조는 검을 빼서 동탁을 베려했으나 동탁은 거울을 통해 검을 뺀 모습을 보고 돌아서자 조조는 명검인 칠보도를 선물하려 했다며 위기에서 벗어났고 말을 타고 도망칩니다. 나중에 동탁은 자신을 죽이려 한 것을 알고 군사들로 하여금 뒷쫓게 했으면 현상금을 걸기도 했습니다. 혼비백산 도망간 조조는 고향으로 돌아가 반동탁연합군을 결성하게 되면서 자신의 세력을 갖추게 됩니다. 악전 이전을 비롯하여 하후돈ㆍ하후연형제 조인ㆍ조홍형제 등이 의병모집에 응하여 후에 조조군의 주력이 될 인물들입니다. 조조는 이외에도 인재를 아껴 설득하고 이용하여 자신의 편으로 만드는 재주 또한 비상하였습니다, 다만 관우와 태사자는 설득하지 못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6일 작성 됨
Q.
고려 왕규의 난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규의 난은 고려 2대 국왕 혜종 때의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왕실의 외척인 왕규가 자신의 손자인 광주원군을 왕위에 올리기 위한 반란으로 왕권이 미약한데서 발생하였습니다. 왕규는 원래 광주의 대호족으로 양근 함씨였으나 개국공신으로 왕씨를 하사받았습니다. 자신의 두 딸을 태조에게 시집보내 15비와 16비가 되었고 16비 소생이 광주원군입니다. 왕규는 혜종을 두 차례나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하였고 혜종 사후 정종이 등극하자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정종은 혜종 때부터 왕규를 의심하여 수비대장 왕식렴과 미리 연락을 해두었습니다. 왕규가 난을 일으키자 왕식렴은 왕규를 붙잡아 갑곶으로 귀양보냈다가 사람을 시켜 죽여버리고 300여명을 처형했습니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정종도 오래가지 못하고 동생 소에게 자기 아들 경춘원군의 목숨을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왕위에 오른 광종은 자신의 자리를 노린다는 이우로 경춘원군을 처형하여 고려 초기 왕권 불안은 한동안 계속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스파르타쿠스가 주도한 노예 반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트라키아 출신의 글라디아토르 즉 검투사 스파루타쿠스가 일으킨 고대 로마의 노예 반란을 의미합니다. 기원전 73년 카푸아의 노예 양성소에서 스파루타쿠스 등 70여명의 검투사들이 탈주한 것에서 시작하여 한때는 9만의 세력이 남이탈리아를 휩쓸었으나 폼페이우스에게 진압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6일 작성 됨
Q.
광종은 피의 군주라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4대 왕인 광종은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 관복제정 등 왕권 강화를 위해 그가 이룬 정책들은 역사적으로 대단히 의미있고 중요한 업적이었습니다. 그럼에도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것은 재위 중반부터 시작된 공신과 왕실에 대한 피의 숙청 때운일 것입니다. 고려 성종 때 이후 유학자들은 광종에 대한 평가에 인색했습니다. 당대의 유학자 최승로나 고려 말의 이제현 그리고 도의를 중시한 조선의 유학자들에 비친 광조은 참소를 좋아한 왕이었고 광기의 왕이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일부일처제도가 가장 합리적인 결혼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회구조나 전통에 따라 일부일처제 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 등 다양한 제도가 존재한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에 어떤 제도가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체제에 맞냐 맞지않느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몽고족과 같은 유목민들은 근친혼으로 각종 질병에 노출돤 것 때문에 자신들의 아내를 이방인들에게 내어주는 풍습이 생기게 돠었고 티베트는 종족번식을 위하여 일부다처제를 택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선진국들을 비롯한 문명국가에서는 일부일처제를 택하고 있습니다.
586
587
588
589
5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