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백제 멸망 후 백제에 대한 평가 중에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은고는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왕비입니다. 군대부인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립니다. 나당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망한 후 660년(의자왕 20년) 7월 13일에 당나라 장수 소정방에게 당나라로 끌려갔습니다. 대당평백제국비문, 일본서기는 백제의 군대부인이라는 요녀가 백제의 군대부인이라는 요녀가 백제 멸망에 크게 작용했다고 하는데 군대부인과 은고가 동일인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무도하여서 국병을 마음대로 빼앗고 현량들을 주살하여 백제가 망하는 화를 초래하였다고 합니다.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우리는 언제부터 간호사라는 명칭을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호사는 개인 가족 나아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과학적인 방법인 간호과정을 전인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하여 간호를 수행하는 직업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사는 1908년 보구녀관 간호원양성소를 1회 졸업한 김마르다님과 이그레이스님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독교 세례를 받은 사람들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베트남전쟁은 왜 일어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트남 전쟁은 1960년에 결성된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NLF)이 베트남의 완전한 독립과 통일을 위해 북베트남의 지원 아래 남베트남 정부와 이들을 지원한 미국과 벌인 전쟁입니다. 베트남 독립을 위해 프랑스와 벌인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구분하여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라고 하며 월남전으로도 부릅니다. 초기에는 NLF와 남베트남의 내전이었으나 1964년 8월 7일 미국이 통킹만 사건을 구실로 북베트남을 폭격한 뒤 북베트남과 전면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과 소련의 냉전 체제 하에서 한국 타이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중국 등이 참전한 국제적인 전쟁으로 비화되었으며 미국이 캄보디아와 라오스 등으로 군사개입의 범위를 넓히면서 전장도 인도차이나 전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미국 다음으로 많은 병력을 파병한 국가입니다. 한국은 1964년 9월 의료진을 중심으로 한 비전투요원을 파견한 것을 시작으로 맹호부대 청룡부대 백마부대 등 30만 명이 넘는 전투병력을 베트남에 파병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1만 6천명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많은 참전 군인들이 고엽제 피해 등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기생의 뜻과 탄생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생 혹은 기녀는 춤 노래 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 민기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의 총칭입니다. 천인 신분이었지만 춤 노래 시 등에 능한 예인이었으며 대표적인 기녀로는 16세기 사람인 황진이가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크리스마스의 탄생배경이 궁금합니다. ㅎ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크리스마스는 기독교의 창시자인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기념일입니다. 크리스마스는 영어이며 그리스도(Christ)의 미사(mass)라는 의미로 고대 Christes maesse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성탄절을 12월 25일에 지내게 된 것은 명확하지 않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이 세상의 빛 태양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가졌던 초기 기독교인들이 로마의 정복당하지 않는 태양의 탄생일과 같은 날에 기념하기를 원했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됩니다. 18세기 접어들면서 영국에서 성탄절은 공휴일로 공적으로 기념되었습니다. 19세기 중엽에 성탄절은 이웃사랑과 자선이 중시되고 과거의 축제 관습이 더해졌으며 어린이를 중심으로 가족이 즐기는 날이 되었습니다. 한국의 성탄절 역사는 기독교의 전래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천주교는 1700년대 후반에 기독교는 1800년대 후반에 각각 전래되었는데 이 당시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습니다. 20세기 들어 근대적 언론매체가 등장하면서 공론을 형성이 잘 이루어졌고 독립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주요 일간지에서 성탄절을 축일로 소개하고 기독교들의 행사도 비교적 상세하게 보도하게 됩니다. 해방 이후에도 이어져 성탄절은 중요한 해방 이후 더 중요시되었으며 미군정의 정책과 이 정책을 이어받은 이승만 정권도 성탄절의 큰 정착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현재 성탄절은 종교와 상관없이 한국인 대부분에게 한해를 마감하는 세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601
602
603
604
6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