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일본에서 눈이 기장 많이 오는 지역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 열도는 섬들이 열을 지어 있다는 의미로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본에서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은 일본해측입니다. 홋카이도를 제외한 섬들은 동일본 서일본이라는 구분으로 자주 이야기됩니다. 한국에서는 호우주의보나 폭설주의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지만 한국에서 호설지대라는 용어는 낯설게 느껴집니다. 겨울에 대량의 적설량을 보이는 지대 쉽게 말하면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입니다. 호설지대 중 매우 많은 눈이 내리는 지역을 특별호설지대라고 합니다. 여기에는 홋카이도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아카타현 야마가타현 나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시마현 돗토리현 등이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고종의 헤이그특사 파견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05년 일제에 의해 강제로 맺어진 을사늑약에 서명을 거부하고 있던 고종은 러시아 니콜라이 2세의 만국회의 초청장을 받고 일제의 강제에 의한 외교권과 군사권을 강탈당한 부당성을 알리고자 이상설 이준 이위종을 네덜란드 헤이그에 특사로 파견합니다.비밀리에 파견된 특사들은 초청장을 가지고 회의장에 들어가고자 했으나 주최국인 네덜란드의 우유부단한 태도로 회의장에 들어가지 못합니다. 다른 루트를 찾던 중 국제신문기자협회 회의장에 들어선 이위종은 유창한 영어로 강제로 체결된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알려 만장일치의 부당성을 인식시켰습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접근하던 이준 열사는 뜻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분사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대통령제 국가와 내각책임제 국가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의 차이점은 첫째 대통령제는 엄격한 권력분립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존재하나 의원내각제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합니다. 둘째 대통령제에서 행정부는 일원적으로 구성되나 의원내각제는 이원적으로 구성됩니다. 셋째 대통령제는 임기 중 정치적 책임을 지지 않으나 의원내각제는 내각에 대하여 정치적 책임 추궁이 가능합니다. 넷째 두 정치제도를 본질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내각불신임과 의회해산권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14일 작성 됨
Q.
태종 이방원과 원경왕후의 갈등은 어떤 이유로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경왕후는 남편을 보위에 올리려 목숨을 걸었던 동지였으며 그녀가 했던 노력은 내조의 범위를 넘는 것이었습니다. 어린시절 결혼한 남편 태종과의 사이에서 4남 4녀를 낳고 안사림까지 챙겼던 엄청난 에너지를 가진 여장부였습니다. 그러나 성공의 기쁨도 잠시 외척들을 경계했던 남편에 손에 친정이 박살나는 비운의 여인이기도 하며 남편을 죽기전까지 애증했던 인물입니다. 1420년 남편보다 일찍 세상을 떠나 현릉에 묻혔고 그로부터 2년 후 남편과 합장되었습니다. 세종의 어머니보다는 태종의 왕비로만 기억될뿐입니다. 태종을 왕위에 올리려고 모든 것을 걸었습니다. 태종은 왕이 되자 공신들을 매우 경계하였는데 특히 정계와 군부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민무구 민무질을 심하게 경계하였습니다. 그들은 세자인 양녕대군과도 친했기 때문에 세자가 왕위에 오르면 외척이 되어 권력을 행사할 것을 우려해 태종은 그들을 유배보내고 사약까지 내렸습니다. 민무휼 민무회 형제도 유배를 보내져 교수형에 처해집니다. 태종의 손에 죽지는 않았으나 부친인 민제(태종의 스승)는 자식들이 귀양가는 와중에 병으로 죽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정작 태종은 왕위에 오르자 일차적으로 원경왕후의 가족을 박살냈기에 이들 부부가 마냥 좋았던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원경왕후는 조선 왕실에서 가장 많은 아이를 낳은 왕비이기도 합니다. 정안군 시절 요절한 3명의 아들과 1412년에 태어나서 요절한 자식까지 포함하면 12명의 자식을 두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인조는 왜 소현세자의 가족을 모두 말살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조는 조선 16대 왕으로 광해군의 중립외교를 지양하고 친명배금 정책을 썼습니다. 1636년 병자호란 치욕스러운 삼전도 굴욕(삼배고구두)을 당하였으며 소현세자와 세자빈 봉림대군부부 삼힉사 등이 볼모로 청에 끌려가는 수모를 당하였습니다. 청에 끌려간 소현세자는 청나라의 규모에 놀라게 되고 또 다른세계가 있음을 선교사를 통해 알게 되어 조선이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합리적인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는 인조나 조선 백성들의 의구심을 갖게 했으며 특히 인조는 청 조정과 친하게 지내는 세자를 더욱 의심하게 되면서 왕권이나 노리는 하찮은 존재로 여기게 됩니다. 이런 갈등으로 세자가 환국했을 때 알 수 없는 병으로 죽게 되고 세자빈 또한 출궁당하여 사사당했으며 세손 3왕자들도 제주도로 귀양을 보내져 2명이나 죽게 됩니다. 인조는 소현세자와 빈 세손들을 절멸시키고 봉림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습니다. 그가 바로 북벌을 주장한 효종입니다.
601
602
603
604
6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