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6일 작성 됨
Q.
5.16 군사정변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0년 3월 15일 3.15부정선거에 반발한 학생들과 시민들은 이승만의 하야를 외치며 데모를 벌이게 됩니다. 마산 앞바다에 사라졌던 마산상고 학생 김주열군의 시체가 떠오르면서 전국적으로 데모는 확대되었고 결국 이승만은 하야하게 됩니다. 이후 제2공화국의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가 집권했지만 무능하고 부패하여 나라를 제대로 이끌지 못하자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소장은 군사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하게 됩니다. 쿠데타 당시 연설처럼 제대로 된 민간 정부에게 권력을 이양하고 군은 군 본연의 임무로 복귀한다는 약속을 지켰다면 민족의 영웅으로 오랫동안 기억에 존재했겠지만 권력에 눈이 멀어 정권을 창출하여 장기집권을 하면서 유신군부 독재체제를 구축하여 종신대통령을 꿈꾸다 중정부장 김재규의 총에 맞아 죽고 말았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6일 작성 됨
Q.
유학과 성리학은 무엇이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을 천하통일 한 진시황은 법가사상(상앙 한비자 등)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고 패도정치를 행하며 자신에게 반대하는 유학자들을 생매장 시키고 유교경전을 불태우는 분서갱유를 저지릅니다. 진나라를 기점으로 진나라 이전의 유학을 선진유학이라 하여 공자 맹자 순자의 사상을 일컫습니다. 진나라 이후 한나라 때 유학을 국학으로 삼고 경서를 복원하는 작업을 하게 되면서 유학은 경학이나 훈고학으로 불리게 됩니다. 이후 송나라 때는 성리학으로 명나라 때는 양명학으로 청나라 때는 고증학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그 근본에는 공자맹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는 동일하다고 봅니다.
역사
2023년 12월 6일 작성 됨
Q.
청일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강화조약은 시모노세키조약으로 알고 있는데요 일본의 조선에 대한 지배권의 확립 이외에 어떠한 것들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모노세키 조약은 청ㆍ일 전쟁의 전후처리를 위해 1895년 4월 17일 청국과 일본이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체결한 조약으로 청은 랴오뚱반도를 돌려받는 대신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였고 일제는 청일전쟁의 승리로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고자 하였습니다. 조약의 내용은 5가지로 1. 청은 조선국이 자주국임을 인정한다. 2.청은 라오뚱반도와 타이완 평후섬을 일본에 할양한다. 3.청은 일본에 2억냥의 전쟁배상금을 지급한다. 4.청이 구미열강과 체결한 조건을 일본과도 체결한다. 5.청의 사스 충칭 쑤저우와 항저우 개항과 일본 선박의 양쯔강 및 그 부속하천의 자유 통항 용인하고 일본인의 거주 영업 경제의 자유를 승인할 것 등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6일 작성 됨
Q.
삼국시대에 신라와 백제 등 지역간에 국경이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대는 지역간의 경계가 허물어진 유비쿼터스 시대를 살고 있지만 삼국 시대에는 산과 골짜기가 하나의 경계가 되어 왕래를 할 수 없고 자연스럽게 국경이 되어 있었습니다. 성을 중심으로 생활을 했기 때문에 대부분 자급자족의 경제였지만 필요한 물건들은 물물교환을 통해서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험준한 산에는 산적들이 있어서 생계를 목적으로 한 장사치들이 아닌 경우에는 고향을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6일 작성 됨
Q.
책보니 노블리스오블리제단어가 나오던데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블레스 오블리주는 프랑스어로 고귀한 신분이라는 노블레스와 책임이 있다는 오브리주가 합해진 것입니다. 1808년 프랑스 정치가 가스통 피에르 마르크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뜻합니다. 과거 조선시대에도 명절에 어느 집에서 연기가 나오지 않는가를 살펴 그 집에다 쌀과 고기를 가져다 준 양반들이 있었습니다. 귀족의 의무 양반의 의무 정도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641
642
643
644
6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