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흉노족을 현재 어떠한 연합종족으로 추정하는지 최근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흉노는 상고시대부터 5호16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존속했던 유목민 집단 및 이들이 세운 국가의 이름입니다. 세계 최초의 유목 제국이었습니다. 첫 등장은 4세기 말 전국시대부터이고 이후 전한시대에 이르러서는 북아시아의 최강의 유목국가로 성장했습니다. 건조한 초원이 대부분이었지만 기원전 3세기 무렵 현재의 중국 북부 몽골 고원에서부터 러시아 남쪽에까지 달하는 제국을 건설하였고 전성기에는 시베리아 남부 만주 서부 그리고 현재 중국의 내몽골 간쑤성 토하리스탄까지 영향력이 미쳤습니다. 전한 초기엔 한나라를 압박하면서 한고조 유방을 백동산 포위전에서 사로잡을 뻔도 했으나 이후 화친으로 돌아섰고 전한의 형님의 위치로 전한으로부터 조공을 받기도 했습니다. 한무제 시절엔 전한과의 데스매치 끝에 북쪽으로 밀려났고 나라가 두개로 나뉘어지면서 중원에서의 패권을 상실하고 맙니다. 결국 선비족에게 된통 얻어맞고 점점 약화되더니 끝내 흉노족의 정체성이 사라지고 역사에서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도에서는 돼지고기를 사기가 쉽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인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먹지 않습니다. 힌두교도가 80%정도여서 소고기를 먹지 않으며 이슬람교는 13%정도로 돼지고기를 먹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종교적인 이유 때문에 육식을 꺼려하고 있습니다. 못먹는 것이 아니라 안먹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민간신앙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불교가 억압된 것과 다르게 민간신앙은 계속 번창하였습니다. 금무라는 국가 정책에 따라서 지나친 행동이나 무속이 표면에 나타나는 것은 제한되었습니다. 특히 무격을 전담하는 관청으로서 성수청ㆍ활인서 등이 있었습니다. 또 기우 기은 기자 산천제 성황제 등은 사제무가 맡아서 하였으며 성수청과 활인서에 국무 또는 무녀들을 두어 백성의 질병을 치료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인간사 길흉화복을 점치는 점복무가 크게 성행하였습니다. 여러 신에 대한 민간신앙도 고려 못지 않게 성행하였습니다. 영성단과 노인성당을 서울 남쪽에 두었고 함흥 남쪽에 제성단을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산신제는 백악산 송악산 감악산 삼각산 등 4악산의 산신단을비롯하여 전국의 주요 산과 마을에서 거행되었으며 이밖에도 천신 삼해신 칠독신 등이 있어서 무녀를 비롯한 기복자들이 즐겨 기도를 드렸습니다. 동물신으로 산신인 호랑이를 비릇하여 재산신으로 숭상되었던 두꺼비 제주도 사귀당에서 제사를 지냈던 사신 수신으로 받들어졌던 용에 대한 신앙이 크게 성행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조는 정말 사도세자를 죽일 의도가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도세자는 영조가 아껴서 어렸을 때부터 세자교육을 받았고 1739년(영조 15) 5살에 영조 대신 대리청정을 하였고 1742년 8살에 종묘에 참석하는 의식에 세자를 참여시켰는데 세자가 법도에 맞게 행동하는 것을 보고 모두 우러러 보았습니다. 1747년 궁안에 천연두가 발생하여 경덕궁으로 피신하여 문안을 드리지 못한 일이나 공식적인 만남이 있을 때만 만나고 만나기를 주선하는 사람이 있을 때만 만날 정도로 영조와 사도세자 간에는 친밀함이 적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세자교육을 강압적으로 받아왔고 영조가 직접 친문하는 지리에서 압박감을 느낀 세자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하여 정신분열증을 앓게 되었고 이것이 궁녀를 겁탈하고 궁인들은 살해하는 만행으로 이어지고 급기야는 동궁을 사칭하면서 사가의 여인들까지 겁탈하는 만행들이 발생하기도 하자 왕실의 위기는 고조되었습니다. 1757년 1758년 사도세자의 병이 깊어지면서 발작할 때는 궁비와 횐시를 죽이고 괜찮아지면 후회하곤 했습니다. 영조는 사도세자를 폐하려 했으나 폐하지 못했는데 영빈까지 세자의 일을 고하자 결국 폐서자 하기에 이르게 됩니다. 폐서인이 되어 뒤주에 갇혀있던 세자는 5월 21일에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허수아비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농경 5천년 문화 역사 농경 사회의 허수아비의 유래는 옛날에 지극한 효자 부부가 비 가림막으로 만든 볏짚을 벗어서 지게에 걸어 놓은 것이 허수아비의 시초입니다. 옛날에 효자부부가 어렵게 농사를 지으며 살았으나 날짐승들이 곡식을 따먹어 수확량이 줄어들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부모님 병수발에 약초를 캐러 갔다오면 새들이 곡식을 다 따먹어 속이 많이 상했습니다. 새들이 따 먹은 만큼 저녁을 굶기로 하고 몇날 몇일을 허기진 배를 물로 채우며 식량을 아껴서 부모님 병환을 고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어느날 용한 의원 집에 약을 지으러 가는데 비가 장대같이 쏟아지자 볏집으로 엮어서 입고 집에 와서 지게에 걸어놓고 산에 갔다 왔는데 멍석에 널어 논 곡식이 그대로 있었습니다. 텃밭과 논에도 새들이 없고 멀리서 지저귀고만 있었습니다. 지게에 걸어둔 볏짚을 사람으로 착각해 새들이 접근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 후부터 허수아비를 논밭에 세워놓는 풍습이 생겼습니다. 허수하다의 옛말이 허소하다인데 얼마쯤 비어서 허전하다는 뜻입니다. 이에 허소가 변한 허수에 아비가 붙여진 이름이 허수아비입니다.
6416426436446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