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2일 작성 됨
Q.
독립운동가 이상룡 선생의 자손들이 광복 이후 고아원을 전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협회 회장을 지낸 한말의 독립운동가입니다. 1910년 국권 피탈 이후 간도로 망명하여 지린성 류허현에서 이시영 양기탁 등과 함께 신흥강습소를 조직하여 교포 자녀들의 교육과 군사훈련에 힘썼으며 1912년 계몽단체인 부민단 등을 조직하여 단장으로 활동하였습니다. 1919년 한족회를 조직하여 동료들의 자치활동에 힘썼으며 서로군정서 조직에 독판으로 활약하는 등 독립운동에 힘썼습니다. 내 아내와 자식들을 왜놈 종이 되게 내버려 둘 수 없다는 말은 상당한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그러나 여느 독립운동가들처럼 자식과 손자들의 삶은 녹록치 않았습니다. 손녀가 해방 후 고아원에서 생활한 것으로 알러져 안타까움을 자아나게 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일 작성 됨
Q.
청나라가 명나라를 멸망시켰지만 조선은 왜 명나라의 성리학을 고수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은 중립외교를 통해 명나라와 후금(청) 사이에 갈등을 잘 조절해 나갔으나 광해군이 폐위되고 등극한 인조와 신하들은 친명배금 정책으로 나아갑니다. 스스로 자위권을 갖지 못한 조선은 청나라의 침입으로 미처 강화도로 피란을 가지 못한 인조는 남한산성에 들어가서 40여일을 버티다가 결국 삼전도에 나와 삼배구고두의 굴욕을 당하게 됩니다. 이는 정세를 제대로 읽지 못한 왕과 신하들의 무능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소현세자와 세자빈 봉림대군 부부 그리고 삼학사(윤집 오달제 홍익한) 등을 볼모로 청나라에 끌고가면서 병사들을 물리게 됩니다.
역사
2023년 12월 2일 작성 됨
Q.
이순신장군이 거북선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사실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간에는 이순신이 직접 철갑선인 거북선을 개발했고 이에 직접 탑승했을 것이라는 통념이 있으나 사실 조선 수군의 주력은 판옥선이며 이순신도 거북선을 처음 개발한 인물이 아닙니다. 조선 수군은 건국 직후부터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투자와 신형함 개발에 힘써왔습니다. 하지만 조선 수군에서 새로운 전함을 개발할 때에는 지휘관의 결단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순신 장군의 결단에 의한 것이라는 점은 사실입니다. 거북선은 고려 시대에 개발되었던 군함 과선(배에 창과 칼을 박아 적의 침입을 막음)과 여말선초의 검선을 참고한 듯 합니다. 그후 묻혀있던 것을 새로운 형태로 부활시킨 것입니다. 태종실록에도 두 차례나 거북선에 대한 언급이 있으나 이는 임진왜란 것과 이름은 같으나 세부 구조도 같은 것인지는 설계도가 전해지지 않아 알 수 없습니다. 일설에는 나대용장군이 거북선을 건조한 것으로 되어있으나 정사의 기록에는 없고 야사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일 작성 됨
Q.
과거 고종황제가 에디슨에게 전구를 설치해달라고 한 시기와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디슨은 백열전구를 발명한지 8년 만에 우리나라에 전기를 사용한 전구를 도입한 배경에는 고종의 결단이 있었습니다. 1853년 조선 보빙단이 미국에 방문해 에디슨 회사를 둘러본 뒤 고종에게 전기에 대해 소개합니다. 고종은 전기등 설비를 요청하며 에디슨에게 편지를 전했습니다. 에다슨은 중앙 공급식 전기발전을 이용한 전등 설비에 나섰고 이같은 발전 시설은 아시아에서 최초였습니다. 고종은 일종의 얼리어답터였던 셈입니다. 2017년에 고종이 의대순(에디슨)에게 보냈던 편지가 돌아와 한국전력의 설립일을 한성전기 설립일인 1898년 1월 26일로 변경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일 작성 됨
Q.
역사상 가장 사망자가 많은 전쟁은 어떤 전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등의 연합군과 나치 일본 이탈리아 주축국들 사이에 벌어졌던 제2차 세계대전입니다. 이로 인해 독일국과 일본제국이 멸앙했으며 미국과 소련이 뛰어넘을 수 없는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이 전쟁 동안 무려 7천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사망했고 1억 3천만 명으로 추산하는 학자도 있다고 합니다.
666
667
668
669
6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