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오늘은 수능 수행 평가 시험날인데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력고사가 학생의 학업역량보다는 암기와 성적위주의 시험으로 전락한 것에 반하여 다각도로 학업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1994년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1-9등급제 상대평가 시험입니다. 3불정책인 기여금입학제나 대학별본고사 고교등급제 등을 폐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진 입시제도입니다
역사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중앙아시아의 한민족들은 왜 고려인으로 불릴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시대 압제를 피해 간도로 건너간 우리나라 사람들이 러시아로 또 쫒기다시피 가게 되고 러시아에서도 일제 앞잡이로 오해받았지만 블라디보스톡 등에서 성실근면하게 농토를 일구고 가꾸어 옥토로 만들었는데 자유시 참변으로 스탈린에 의해 강제로 시베리아 횡단철도에 태워져 중앙아시아로 이주당하게 됩니다. 그들이 카리야스키 즉 고려인입니다. 그들은 중앙아시아의 버려졌던 땅을 가꾸어 옥토로 바꾸고 오늘날의 농업수출의 토대를 마련한 것입니다.
철학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예수 믿는 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 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 예수는 하나님의 자식으로 세속인들의 모든 죄를 짊어지고 골고다 언덕에 올라 십자가 못박혀 돌아가시고 사흘만에 부활하신 분입니다. 기독교는 구교(로마의 카톨릭과 그리스정교)와 신교(개신교)로 나뉘어 피의 전쟁을 치르기도 했지만 하나님도 예수님도 하나입니다. 즉 예수를 믿으라는 말을 곧 기독교의 가르침 믿음소망사랑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아멘
역사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유명 독립운동가를 보면 의사와 열사, 선생이 있는데 무슨차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에 저항했던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계시는데 안중근의사 이봉창의사 윤봉길의사로 유관순열사 이준열사로 김구지사 박은식지사로 불리우는데에는 의사는 무력으로 일제에 저항하다 순국하신 분들을 일컫고 열사는 평화적으로 저항하다 돌아가신 분들을 일컬으며 지사는 독립운동에 헌신하시고 살아계신 분들을 지칭해서 붙여진 것입니다.
역사
2022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도 지금의 진보 보수의 형태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보와 보수의 개념은 프랑스 루이 16세 당시에 왕의 좌측의 자코뱅파가 급진개혁 세력이고 우측의 지롱드파는 보수온건 세력이었기에 좌파 우파 좌익 우익등으로 불리면서 좌파는 진보 우파는 보수로 불린 것이 우리나라에도 들여와서 진보 또는 보수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당파로 나뉘어 노론 소론 남인 서인 등 4색 당파싸움으로 서로 힘겨루기를 했습니다. 효종의 비의 상을 1년이냐 9개월이냐 효종의 상을 3년이냐 1년이냐를 두고 남인과 서인간의 싸움과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등과 같은 정변에는 당파의 힘겨루기가 있었습니다.
역사
2022년 11월 16일 작성 됨
Q.
한국인은 왜 소파를 두고 바닥에 앉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의 입식 문화와 동양의 좌식 문화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뜻한 아랫목을 찾는 것은 구들장문화로 우리의 좌식 문화이고 쇼파 침대 식탁 등은 서구화로 인해 우리 일상이 바뀐 생활의 양태라고 봅니다.
철학
2022년 11월 16일 작성 됨
Q.
성인을 하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공자 노자 맹자...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학사상은 진나라의 시황제가 법가 사상을 토대로 중국을 천하통일한 후 분서갱유를 단행하여 복서와 농서 등을 제외하고 모든 경전이 불살라졌으며 무려 460여명의 유학자가 산채로 생매장 당하는 등 탄압을 받았지만 한나라는 유학을 국교를 삼아 정치이념과 교육철학의 바탕으로 삼았으며 송나라 때는 성리학이 명나라 때는 양명학으로 청나라 때는 고증학으로 변화 발전되었습니다. 우리 나라는 삼국 시대에 유학(내세관이 없기에 종교라기 보다는 학문적 성격이 강함)을 받아들여 정치이념과 교육철학으로 삼았으며 조선 시대는 성리학이 500년 동안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 자리잡았습니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주장은 반상의 제도가 나라를 망쳤다고 보기때문이고 반대로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라는 입장은 하나에서 둘로 나뉘지만 또 다른 하나(태극음양론)이기에 나뉜 것이 아니어서 조화를 이루다고 하여 공자를 존경의 대상으로 삼는 것입니다.
역사
2022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사찰은 왜 대부분 산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찰이 산속에 많은 이유는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들어서면서 성리학적 질서를 국가의 기본이념으로 삼아 숭유억불책을 쓴 까닭에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다보니 사찰이 이겨내지 못하고 탄압을 피해 산속으로 피신해들어간 데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2022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세계가 관심을갖고 지켜보고있는 한류는 언제까지 이어질건지 그리고 한류현상의 기원은 어디서부터 시작된건지 새겨보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자는 우리나라를 가르켜 동방예의지국이라고 하였고 동이편에는 춤과 노래를 즐기는 민족이라고 기술된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문화의 수준은 고조선 시대부터였던 것은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려시대에도 몽고족에게 침략당해 몽고풍습을 받아들여야 했지만 문화의 우수성으로 인해 몽고족이 오히려 고려의 문화를 받아들인 고려양도 있습니다. K-pop K-드라마 등 수준높은 우리문화는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될 것입니다
미술
2022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작품을 보고 제 관점으로 이해해야하나요, 작가 관점으로 이해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작품은 작가와 독자가 작가와 관객이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급한 관객을 위한 고급스러운 상징인지 고급스런 관객을 위한 저급스러운 상징인지는 작가와 관객의 공감대 여부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작가의 생각이 관객의 느낌과 일치한다고 성공한 작품이 되지만 이해불가능한 작품이라면 작품은 실패작이 됩니다.
691
692
693
694
6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