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2년 11월 24일 작성 됨
Q.
한국이 집단주의 개념이 잡히게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은 유목생활을 바탕으로 해서 정착된 생활이 아니어서 개인주의 문화가 형성된 반면 한국은 농경사회의 특성으로 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집단주의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역사
2022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정조 아버지가 영조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조와 정조는 할아버지와 손자의 관계로 법통의 전통을 따지는 파벌싸움에서 손자를 왕위에 올리기 위해 정조의 아버지 즉 영조 자신의 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갇혀 죽게하는 끔찍한 일을 자행하게 됩니다. 정조 또한 와뮈에 오른 뒤에도 끊임임는 자객들의 공격을 받고 왕위를 위협받기도 하였으나 수원에 화성을 축조하고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복위시키는 등 왕권강화를 시도하고 여러가지 실용정책을 추진하여 개혁군주가 되었습니다.
역사
2022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몽골의 일본 원정은 왜 실패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고족은 동서를 아우를 정도로 기마부대를 주축으로한 속도전에 능숙하고 활과 창을 잘 쓰는 민족이었습니다. 고려와 함께 여몽합작으로 1차 2차 일본 토벌에 나섰으나 태풍이라는 자연적 재해와 수전에 약한 병사들로 인해 두 차례 다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역사
2022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일본이 임진왜란을 일으킨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나면 도망갈 곳이 없습니다. 오다노부나가 토요토미히데요시 도쿠가와이예야스 등 일본의 사무라이 시대를 이끈 사람들 입니다. 오다노부나가의 말잽이에 불과했던 종놈인 토요토미히데요시는 큰 야망을 품고 대륙진출을 하고자 했습니다. 정한론을 주장하면서 대륙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두보로 한국을 먼저 정벌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역사
2022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진평왕 딸이 선덕여왕이잖아요 근데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진평왕의 딸인 선덕여왕의 동생이 선화공주입니다. 신라의 3대 미인에는 자용절대 수로부인과 단엄미려 선덕여왕 그리고 미염무상 선화공주라고 향가에 기록되어 전해집니다.
역사
2022년 11월 23일 작성 됨
Q.
고려시대에는 왜 열 살도 되기 전에 시집을 갔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시대에 조혼제도가 시행되었던 이면에는 몽고족에 의해 부녀자들이 잡혀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결혼을 택했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2년 11월 21일 작성 됨
Q.
625전쟁이후 우리나라 소설가 중 가장 인지도 높고 영향력이 큰 사람은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성 벌교 순천을 배경으로 씌여진 태백산맥의 저자 조정래씨를 들 수 있습니다. 해방 전후의 이데올로기 싸움으로 염상진 염상구 두 형제의 골육상쟁을 그리고 있으며 약 2만명의 빨치산(남부군: 여수순천 사건으로 남한군대도 북한군대도 아닌 지리산과 태백산맥을 거점으로 활동하다가 얼어죽고 굶어죽고 총맞고 죽은 이들을 일컬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역사
2022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어느 나라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는 흔히 영어가 전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1위라고 여기는데 세계 1위 언어는 중국어고 2위가 스페인어 3위가 영어입니다.
역사
2022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이성계가 쿠테타를 결심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의 무신으로 여진족 토벌과 왜구의 노략질을 막아낸 용장이었던 이성계는 명나라의 공물이 과도해지자 명을 치자는 최영장군과 대립하였으나 우왕이 요동정벌을 명령하자 출병하였으나 4불가론(작은나라가 큰 나라를 치는 것 여름철 전염병 농사를 못짓는 것 그 틈을 타 왜구의 침략 등)을 내세워 위화도 회군을 단행하고 권력을 잡게 되고 조선을 건국하게 됩니다.
역사
2022년 11월 18일 작성 됨
Q.
유교는 어느나라에서 창시되어 우리나라에 전파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는 내세관이 있는 기독교나 불교와는 달리 내세관이 없기 때문에 엄밀히 얘기하자면 유학이라고 해야 합니다만 언어의 사회성(많이 사용하다보니 고착화된 용어)으로 유교라고 불립니다. 춘추전국 시대의 혼란한 상태에서 이를 극복하고자 나섰던 제자백가 사상 중 유가 사상은 공자에 의해서 창시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들어와서 율령선포 정치와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영양을 끼치게 됩니다. 특히 고려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서 들여온 성리학은 조선 5백년은 물론이고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686
687
688
689
6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