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국민학교가 명칭을 초등박교로 바꾼이유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민학교는 일본 제국주의가 만든 일제식 명칭이기때문에 전국에 있는 모든 국민학교의 명칭을 우리식 학제명인 초등학교로 바꾼것입니다.
역사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십자군 전쟁이 왜 일어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1세기부터 13세까지 그리스도교들이 성지인 팔레스티아 즉 예루살렘을 확보하기 위해 이슬람교들과 8차례에 걸쳐 일어났던 종교전쟁을 일컫는다. 전쟁을 일으킨 그리스도교인들이 어깨에 십자가를 그린 옷을 입고 있었기때문에 십자군전쟁이라고도 합니다. 영주와 하급기사들은 영토확장을 상인들은 경제적 이득을 농민들은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등 각자의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전쟁에 참여한 것입니다.
음악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무슬림은 왜 돼지고기를 먹지않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슬림들이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는 이슬람교에서 금하기도 했지만 열사의 나라이기 때문에 돼지를 키우는 것이 비위생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철학
2022년 12월 6일 작성 됨
Q.
인문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는 것은 수학이고 수학은 논리학의 분류로 논리학 윤리학 미학으로 구성되어 있는 철학의 가지입니다. 즉 철학(인간학)이 모든 학문의 근본인 것입니다. I-inovation을이끌었던 스티브잡스도 인문학적 소양을 강조하고 V3로 안티바이러스를 만든 안철수도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또한 독서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했습니다. 한때 삼성의 휴먼테크와 LG의 테크노피아는 인간과 기술의 융합이나 기술의 천국을 강조한 것으로 모든 과학기술의 바탕에는 인간이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입니다.
역사
2022년 12월 5일 작성 됨
Q.
단군왕검 이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군왕검에서 단은 당골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당골 즉 무당은 신단수에서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제사장을 의미하고 군은 임금을 의미하여 단군이라는 말에서 제정일치사회임을 알 수 있습니다. 1대에서 47대에 이르는 단군이 있었고 이는 일제가 없애고자 했던 BC1500년의 역사를 증명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일제는 우리 역사를BC1000년 경으로만 인정했기에 단군신화라고 했지만 BC2333년의 단군 역사는 BC2500년로 보면 역사적 실체인 것입니다.
역사
2022년 12월 5일 작성 됨
Q.
왜 친일파들이 광복이후 전혀 처벌이 되지않은거죠?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방이후 이승만 정권은 반민족자처벌득별위원회를구성하여 친일파들을 척결하는 듯 했으나 국내 지지기반세력이 약했던 이승만은 친일지주와 자본가들을 바탕으로 한 한민당을 결성하였습니다. 또한 토지분배방식에서 유상몰수 유상분배 방식을 취했기 때문에 친일지주가 다시 땅을 갖게되는 현상으로 그들은 부를 유지할 수 있었고 대물림하게 됩니다. 그래서 친일파들은 기득권 세력으로 자리잡게 되고 밀정들이 오히려 독립투사로 가면을 쓰고 독립운동의 공로로 유공자로 등록된 경우가 허다합니다. 지하에 계신 독립운동가들이 대성통곡할 일입니다. 역사바로세우기는 이런 가짜 유공자들을 찾아내서 단죄하는 것입니다.
역사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세계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죽음에대한공포가 가장 많다는데?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적 영향을 받아서 삶과 죽음을 별개로 여겼기때문에 죽음을 영원한 이별이라고 생각하여 애도와 위로의 대상으로 봤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교나 불교 도교 등 내세관을 가지고 있는 종교의 모습을 띄고 있으면 사후세계도 있고 환생도 하기 때문에 슬픔이나 공포가 덜하지만 유교는 내세관이 없기때문에 삶의 단절에 대한 공포가 더 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역사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그리스의 정복군주 알랙산더는 페르시아 제국을 정복후 아시아 로 향했는데요 오느날 어느지역까지 진출했었습니까?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알렉산더 대왕은 동서 제국을 건설한 위대한 왕으로 남쪽으로는 아프리카까지 동쪽으로는 인도까지 정복한 인물입니다. 인재 등용과 관련한 유명한 일화로 디오게네스(햇빛을 가리지 말라.)를 들 수 있습니다. 동서간의 문화적 융합이 이뤄진 철학과 과학을 중시한 헬레니즘(수 많은 전쟁으로 인한 개인의 안심입명과 동서제국을 건설하여 세계 시민주의적 모습을 보임) 문화시대를 맞게됩니다.
역사
2022년 12월 3일 작성 됨
Q.
콜럼버스가 첫발견 했다는 신대륙(아메리카)은 콜럼버스에의한 첫발 취가 맞는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4세기부터 지리상의 발견시대가 전개되고 바르톨뮤디아스에 의해 아프리가 항로가 개척되고 바스코다가마에 의해 아프리카 희망봉이 발견됩니다. 1492년 크리스토퍼 콜롬부스는 스페인여왕 이사벨에게 간청하여 인도에 금을 캐웠다고 장담하여 산타마리아호로 선원 40여명을 태우고 떠났지만 대서양을 벗어나지 못하고 제1차-제4차 항해때까지 쿠바 아이티 등을 항해하면서 인도라고 생각하고 생을 마감해서 그의 죽음을 애도하여 서인도제도라 불립니다. 아메리카대륙의 발견은 1000년경 북유럽노르만인에 의해 발견되어 유럽인의 활동 무대가 되었습니다.
철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사람들이 왜 죽음에 슬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죽음에 대한 입장을 긍정적으로 본 플라톤(육체에 갇혔던 영혼이 idea의 세계로 들어감) 에피쿠로스(살아있을 때는 죽음을 경험할 수 없고 죽으면 아무 것도 모름) 장자(죽음은 기의 흩어짐에 불과함) 등과 같은 사상가들도 있지만 유교에서는 죽음을 애도와 위로의 대상이라고 보았습니다. 죽음을 슬픔의 관점으로 본 것은 유교의 영향이 컸기때문입니다.
686
687
688
689
6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