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도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도건 전문가입니다.

김도건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어의 이는 무한대로 난다고 하던데 유전자이식으로 사람에게도 적용이 될까요?
현재 그와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프레이저박사는 발달생물학(Developmental Biology) 최신호에 게재된 논문에서 “상어들은 평생동안 자신들의 이빨이 썩기 전에 새 이빨이 다시 자란다. 좋은 소식은 이 이빨을 다시 자라게 하는 유전자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척추동물들에게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상어와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인간도 이빨(영구치)이 빠지면 다시 나오게 할 길이 열렸다는 것이다. 인간은 젖니와 영구치 단 두 번만 이빨을 만들어 낸다....따라서 우리의 노력은 정말로 가치 있다. 상어는 결코 이빨이 썩는 일이 없다. 이들의 이빨은 빠지면 이전보다 훨씬 더 빨리 자란다. 중요한 것은 이 세포들을 활용해 인간의 이빨을 다시 나게 하려는 노력이 과히 터무니 없는 것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인간은 청소년기에 이 치아판 세포를 잃게 된다. 이들은 사라져 버린다. 하지만 우리가 이들을 다시 살려내 미래의 이빨 치료에 활용하게 될 가능성이 남아 있다. 빠진 이빨이 다시 자라나게 하는 유전자망이 재가동시키는 법을 알기 위해서는 많은 혁신이 필요하다. 이 작업에는 여러 해가 걸릴 것이다”고 말했습니다.아직 실용화 되기엔 시간이 더 걸리겠지만 미래에는 임플란트 대신 새로운 이가 다시나는 치료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꿀의 탄소동위원소비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포도당, 과당등의 벌꿀의 주성분은 탄수화물(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질)입니다. 그래서 꿀의 주성분은 어떻게보면 탄소와 수소가 주 구성원이지요.그리고 "동위원소"란 원자번호가 같은 원자지만 중성자 수 차이에의해 질량이 구분되는 서로 다른 원자들을 칭하는 말입니다. 쉽게 말하면 탄소마다 번호가 있는데 벌들이 채집하는 꽃꿀의 탄소화물값은 -22 ~ -33 이며 설탕의 주재료인 사탕수수나 물엿들의 탄소화물값은 -10 ~ -20 입니다.​그래서 탄소동위원소검사를 하면 꿀에 사탕수수나 물엿등의 탄소화물값이 들어갔는지 알수있고 그걸로 진짜꿀이냐 가짜꿀이냐를 판가름 하는것 입니다. 하지만 탄소동위원소비는 설탕이 들어갔는지 아닌지만 판가름 될뿐 좋은꿀이냐의 기준은 알수가 없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저는 왜 눈썹은 왜 빨리자랄까요??
사람의 털들은 하는 역할이 다르며, 그 역할에 적합한 길이와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머리카락은 다른 털에 비해 뜨거운 태양, 차가운 바람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많이 자라게 됩니다.질문자님께서 눈썹이 빨리 자란다고 느끼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을 먼저 들 수 있을 것이고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땀, 물이나 먼지 등이 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빨리 자랄 수 도 있습니다. 현재 살고 계신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빨리 자랄 수도 있습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플라스틱은 언제 누가 발명을 했나요?
최초의 플라스틱은 1855년 Alexander Parkes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Alexander Parkes라는 버밍엄의 영국인은 상아를 대체할 합성 물질을 개발한게 최초의 플라스틱 입니다. 플라스틱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화학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형태의 플라스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기술이 발전했습니다. 새로운 플라스틱 물결의 초기 사례로는 독일의 IG Farben이 개발한 폴리스티렌(PS)과 폴리염화비닐(PVC)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쥬라기시대에 한반도에도 공룡이 존재했나요?
우리나라에서도 공룡이 살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최초의 공룡 화석은 1972년 경남 하동군 수문동 해안에서 발견된 공룡 알껍데기 화석입니다. 그 이후에 전남 및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공룡의 뼈, 알, 발자국 화석이 잇달아 발견되었으며, 전남 해남군 우항리 지역에서는 세계에서 드물게 익룡, 공룡, 새 발자국이 동일한 지층에서 발견되기도 하였습니다. 경남 남해군 해안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길이 1.27㎝의 소형 육식 공룡 발자국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공룡 화석이 발견된 곳을 살펴보면 공룡이 살기에 좋은 장소를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커다란 호수가 있고, 호수 주변에는 먹이가 될 수 있는 동식물이 매우 다양하게 살고 있어서 공룡이 생활하기 좋은 환경이었을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공룡이 쇠퇴하던 백악기 후기에도 한반도에서는 공룡이 번성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41424344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