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김두환 전문가
부산대물리학과
화학
화학 이미지
Q.  냉장고의 가동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냉장고의 냉기를 만들어 내는 원리는 에어컨과 비슷한 원리입니다.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게되는데 순환하면서 냉각 과정을 거칩니다.공기가 냉매제가 있는 부분을 지나며 냉매제가 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화되고 공기는 차가워지죠. 차가워진 공기를 냉장고 내부로 다시 내보내고 기화된 냉매제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지나며 열을 방출해내 다시 액화되어 냉장고 내의 열기를 빼앗기를 반복합니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냉장고나 에어컨의 원리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현대과학에서도 아직도 빛의 속도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한 것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다고 가정하며, 질량이 있는 물체는 빛보다 느립니다. 그리고 빛은 질량이 없습니다.또한, 현재 발견된 물질 중 빛보다 빠른 물질은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앞으로 발견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하며 만약 빛보다 빠른 물질이 발견되면 기존에 이론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이론이 등장해야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물에 사람이 잘 뜨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됩니다. 바다는 염분이나 미네랄, 기타 물질이 물에 녹아있기 때문에 밀도가 1보다 큽니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 밀도가 1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밀도가 바다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사람이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것이죠. 또한, 강물의 경우 염분이 없어 밀도가 낮아 사람과 비슷한 밀도인데, 사람의 평균 밀도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팔 다리를 젓거나, 공기를 많이 들이마시면(밀도를 낮추면) 쉽게 뜰 수 있는 것이죠.
물리
물리 이미지
Q.  공기가 들어있는 공을 물속으로 가라앉힐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학적으로 가능합니다. 공기가 들어있는 공이 물에 뜨는 이유는 부력때문입니다.그런데, 만약 이 부력보다 큰 힘을 가해주게 되면 물체는 가라앉게되죠. 예를 들어 공기가 든 공에 줄을 감아 밀도가 높은 쇳덩이를 여러개 묶으면 가라앉게됩니다.물보다 밀도가 큰 물체는 중력에 영향이 더 커 물에 가라앉게 됩니다. 하지만 물보다 작은 밀도의 물체(나무, 스티로폼, 튜브 등)는 중력에 의한 영향보다 부력이 더 커 물 위에 뜨는것이죠. 그래서 물 속 특정 부피에 해당하는 공간에 물체를 넣는다고 치면 진공으로 두는 것이 가장 부력이 크며, 물보다 작은 밀도일수록 부력이 크게 작용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리는 왜 한 달에 한 번씩 나오는 것일까요? 석 달이나 6개월에 한 번이면 더 좋을텐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리의 주기는 배란부터 난자의 방출 다시 배란까지의 과정상 걸리는 시간이 28일~한달정도이기 때문입니다. 동물의 경우 종에따라 이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생리의 주기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1361371381391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