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천둥 번개는 어떻게 생성되는 것인지 과학적으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Q. 소금은 얼음을 붙이는 기능을 하는거 같은데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물계 제설제(소금)는 공기중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며, 이 수용액이 얼음과 닿아 얼음의 열을 뺏기도하며 얼음과 섞여 어는점을 낮추기도합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어있던 얼음이 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금방 녹아버리죠.만약 얼음과 얼음 사이에 소금을 소량 넣으면, 얼음 표면이 살짝 녹긴하는데, 얼음의 양이 많을 경우 녹은 물이 다시 얼어 붙어 얼음과 얼음이 붙을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천둥과 번개는 어떤 이유로 나타나게 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이 번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번개는 단순히 빛의 번쩍임 입니다. 소리가 없습니다. 천둥은 빛의 번쩍임과 소리를 둘 다 한번에 의미합니다. 즉, 천둥이 치면 번쩍임(번개) 뒤에 뇌성(소리)이 들립니다. 또한 번개와 벼락은 같은 의미입니다.이러한 현상은 구름 내 수증기량이 많아지면서 음전하량이 많아져 지상과 전압차가 발생하면서 나타납니다. 전하는 지상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이 때 대기에 있는 기체를 타고 이동하며 방전이 일어나는 것이죠. 기체를 타고 가며 기체원자에서 빛이 발생되며, 또 공기의 압축 팽창이 일어나 찢는 소리가 들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