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만한 행성을 찾아내 듯, 그런 행성에서도 외계인이 있다면 우리 지구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또한, 만약 외계 생명체가 있다고 해도 그들의 기술력이 우리 지구에 사는 인간의 기술력보다 떨어진다면 우리를 발견하지 못했을 겁니다. 하지만 기술력이 우리보다 좋더라도 우주는 드넓기 때문에 우리를 발견하지 못했을 수도 있으며, 발견했더라도 조용히 지나갔을 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계절이 생기는게 자전축이 휜거랑 무슨 상관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입니다.이 때, 여름의 경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까이 놓이게 되면, 지구가 자전하며 해를 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는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여름의 경우이며, 초록색은 우리나라, 노락색은 해가 비치는 부분이고, 회색 점선은 우리나라가 지구 자전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입니다.이 때 흰색 부분을 지날 때보다, 노란색 부분(해가 비치는 부분)을 지날 때의 길이가 긴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것이 해가 떠있는 시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겨울의 경우는 태양이 반대 편에 위치하여 반대의 경우이고, 해가 여름보다 짧게 떠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워터파크에 인공파도는 어떻게 만들어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실제 파도가 생기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방식은 다릅니다. 파도는 조수간만의 차, 바람, 해수의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생겨납니다. 파도는 결국 외부로부터 어떤 힘을 받아 생겨나는 것으로 인공파도 역시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 인공 파도를 생성합니다. 물을 당기고 밀어내기를 반복하는 장치로 인공파도를 만들어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