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원소는 어떻게 탄생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탄생 이론 중 가장 각광받는 이론인 빅뱅이론에 따르면, 우주 초기에는 질량이 아닌 에너지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고온 고밀도의 상태로 존재하였습니다. 고온 고밀도 상태에서 우주가 급팽창하게되면서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우리가 알고 있는 질량을 갖는 물질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습니다.우주 생성 초기에는 높은 에너지의 상태이기 때문에 물질들의 운동에너지가 활발하여 서로 결합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존재하였다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전자와 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쿼크가 개별적으로 존재하며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우주 탄생 후 10^(-12)초 정도로) 우주가 팽창하고 식으며 쿼크들의 활발함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쿼크들의 결합력이 강해져 양성자나 중성자가 등장하게 됩니다. 또 우주가 식으며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되어 원자핵을 구성하게 됩니다. 원자핵은 전기적으로 +극을 띠고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를 띤 전자와 전기력으로 결합할 수 있지만, 여전히 우주가 뜨거워 운동에너지가 활발하여 전기력을 무시하고 움직이게 되죠. 그런데, 우주는 여전히 팽창 중이기 때문에 온도가 서서히 떨어지게 되면서 물질들의 운동이 느려지기 시작합니다. -극을 가진 전자는 +극을 가진 원자핵에 사로잡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수소, 헬륨 등의 원소를 만들게 되는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구름색깔이 하얀구름과 어두운 구름이 무엇때문이 차이가 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 분자의 크기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여기서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 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영화 오펜하이머를 보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 당시에는 양자역학이 만들어지며 완성되지 않은 시기 였습니다. 또한, 양자역학만으로는 원자핵 반응을 기술하는데 한계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계산의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라늄이나 플루토늄과 같은 원자핵 반응에서 나온 중성자가 대기에 존재하는 질소, 수소, 산소 등의 원자핵에도 충돌하여 핵반응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죠. 혹은 원자폭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열)가 주변 공기를 이온화시켜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며, 전 세계에 퍼져있는 공기가 전부 이온화 될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기에 존재하는 원자핵은 굉장히 안정적이기 때문에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대기가 전부 불타진 않으며 지구 내의 대기를 전부 이온화 시킬정도의 폭발 에너지는 아니었습니다. 영화에서 차량에 탑승한 파인만이 등장하는데, 파인만은 양자 전기 역학(QED)을 발전시키고 양자장론(특수상대론을 적용한 양자역학)이 등장하면서 더욱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