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학 용어 중에 이온화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온화라는 것은 원자가 전기적 극성(+, -)을 갖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서 수소원자에는 원자핵(+)과 전자(-)가 존재하는데, 전자 1개 -1음극이 있으며, 원자핵은 +1양극을 띠고 있습니다. 수소원자 전체적인 전하는 +1-1= 0으로 H 중성을 띱니다. 그런데, 전자를 잃게 될 경우 원자핵(+)만 남게되어 H+가 되죠. 이렇게 되는 것을 이온화라고 합니다.만약 수소 H에 전자를 하나 첨가할 경우에는 H-가 되어 이온화가 되는 것이죠.
Q. 고려대에서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데 초전도체가 무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온 초전도체의 경우 굉장히 혁신적인 기술이 됩니다.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기저항이 0이 되며, 저항에 의한 열이 없어 전력 손실이 최소화 됩니다. 또한, 자기장의 차단하는 특징(마이스너 효과)이 있어 자석을 가져다 대면 자석이 뜨게 됩니다.즉, 특정 온도가 극저온의 환경일 수도 있고, 상온일수도 있습니다. 현재 이슈되는 초전도체는 상온에서 초전도현상을 유지했다는 연구결과입니다. 이는 아직 신중히 검토중이며 오류일지, 아니면 정말 구현이 가능한지는 기다리고 지켜봐야할듯합니다.과학계에서는 상온에서 초전도체를 만들어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만약 상온에서 초전도체를 만들어내게 되면 전력손실이 0에 가깝기때문에 굉장한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이는 엄청난 혁명이라고 볼 수 있죠. 전기세가 대폭 감소할 수 있죠. 또한, 전기적 흐름에서 생기는 발열을 없앨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초전도체를 연구하시는 분들은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볼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끈임없이 연구를 하고 있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 있는 행성마다 시간이 다르게 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마다 공전주기가 다르고, 자전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하루의 시간이나 1년의 시간이 다릅니다.또한,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큰 곳에서의 시간은 느리게 흐르며, 상대적으로 중력이 작은곳에서의 시간은 빠르게 흐릅니다. 이를 고려하면 행성마다 중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씩은 다르게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