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김두환 전문가
부산대물리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남향'의 집을 선호하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해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지만, 정확하게 북과 남쪽의 중앙인 머리위로 지나가는 것이 아닌 남쪽 방향에 치우쳐져 지나갑니다. 그래서 겨울에는 집에 햇빛이 잘들어 따뜻하게 지낼 수 있으며, 여름에는 습기가 잘 증발해 곰팡이가 생기는것을 방해합니다. 그래서 남향을 선호하고 있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공간에서도 위, 아래 개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는 위 아래 구분되는 개념은 아직 없습니다. 우주의 중심을 알아내지 못했을 뿐더러 위아래의 정의도 없습니다. 즉 모든 방향으로 동등한 등방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포스트잇 접착력은 어떻게 발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포스티잇은 접착력이 약하지만 잔여물이 잘 남지않는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뗏다 붙였다 할 수 있는 것입니다.여기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입니다. 감압성 접착제의 성분은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고분자물질이 접착력을 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상온 초전도체가 현실적으로 말이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기저항이 0이 되며, 저항에 의한 열이 없어 전력 손실이 최소화 됩니다. 또한, 자기장의 차단하는 특징(마이스너 효과)이 있어 자석을 가져다 대면 자석이 뜨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즉, 특정 온도가 극저온의 환경일 수도 있고, 상온일수도 있습니다. 현재 이슈되는 초전도체는 상온에서 초전도현상을 유지했다는 연구결과입니다. 이는 아직 신중히 검토중이며 오류일지, 아니면 정말 구현이 가능한지는 기다려봐야겠습니다.과학계에서는 상온에서 초전도체를 만들어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만약 상온에서 초전도체를 만들어내게 되면 전력손실이 0에 가깝기때문에 굉장한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이는 엄청난 혁명이라고 볼 수 있죠. 전기세가 대폭 감소할 수 있죠. 또한, 전기적 흐름에서 생기는 발열을 없앨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초전도체를 연구하시는 분들은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볼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끈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중이죠.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955269#nonehttps://arxiv.org/abs/2307.12008에서 pdf를 받아서 보실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암흑물질을 채취해서 가져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암흑물질에 대해 아직 어떻게 생긴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답을 드릴 수 없습니다. 암흑물질에 대해서는 실험적으로 현상은 관측되었지만 근본적인 물질이 어떠한 것인지는 아직 밝혀진것이 없으며, 현재도 연구중에 있습니다. 암흑물질이 무엇인지 밝혀내기 위해 실험도 진행되고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현재도 핫한 연구주제이며 앞으로 어떻게 밝혀질지는 기다려봐야겠네요.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