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여러 금융사의 투자 중에서 PF대출의 위험성이 높은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의 위험성이 높은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 무차입무담보 방식PF 대출은 프로젝트 자체에서 나오는 미래 현금흐름을 대출 원리금 상환 재원으로 하는 무차입무담보 방식입니다. 차주의 신용도나 담보가치보다는 프로젝트 자체의 수익성에 의존하므로 위험이 높습니다.2. 장기 프로젝트 PF는 주로 플랜트, 부동산 등 장기 프로젝트에 활용되는데, 프로젝트 기간이 길수록 수익 예측이 어려워 리스크가 커집니다. 3. 금리 위험PF 대출은 상환기간이 10년 이상으로 길어 금리 변동 위험에 취약합니다. 금리 상승 시 상환부담이 급증합니다.4. 유동성 부족PF 사업에 대한 투자금을 회수하기 어려워 유동성이 낮습니다.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구제금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5. 사업성 불확실성PF 수익은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재무성과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실제로는 예상치를 밑돌 가능성이 있습니다.이처럼 PF 대출은 장기성, 금리 불확실성, 유동성 제약, 사업성 위험이 많아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금융사들은 PF 대출 취급 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Q. 윙입푸드가 나스닥으로 상장을 추진한다는데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윙입푸드가 나스닥으로 상장할 경우, 보통은 현재 국내 상장된 주식과 나스닥 주식 간에 일정 비율로 주식을 교환하게 됩니다. 단순히 1대1 교환되지는 않습니다.구체적인 교환비율은 회사가 사전에 공시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1. 현재 국내 주가 수준2. 예상 나스닥 평가 주가 수준3. 기업가치 평가 4. 거래 유동성 등예를 들어 국내 주식 3주당 나스닥 상장주식 1주를 받는 식의 교환비율이 설정될 수 있습니다. 회사 측에서는 국내외 주가 차이, 유동성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 교환비율을 정하고 이에 대한 주주 동의를 거치게 됩니다.교환 절차 과정에서 현 국내 주식은 매매가 정지되고, 교환 이후에는 나스닥 주식만 거래가 가능해집니다.따라서 나스닥 상장 시 정확한 교환비율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실질 주식 보유 수량 변화를 체크하셔야 합니다.
Q. 애플 노트북에서 HTS되는 증권사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애플 M1 칩 기반의 맥북에서도 사용 가능한 증권사 HTS가 있습니다.1. 키움증권키움증권은 M1 맥북에 최적화된 웹HT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파리나 크롬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합니다.2. 미래에셋증권미래에셋의 경우 M1 맥북에서 원활하게 작동하는 윈도우 버전 HTS를 제공합니다. 크로스오버 등 에뮬레이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3. 하나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의 사이보스 HTS 프로그램은 M1 맥북에서 구동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4. KB증권KB증권은 웹HTS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M1 맥북에서 접속이 가능합니다.5. 삼성증권삼성증권 웹HTS도 M1 맥북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프로그램 HTS는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대부분의 주요 증권사에서 웹HTS라도 지원하고 있지만, 안정성 측면에서는 증권사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원활한 매매를 위해서는 증권사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안내받는 것이 좋겠습니다.